2024-2025 ACL 참가 K리그 4개 팀 미디어데이. 한국프로축구연맹울산 HD, 포항 스틸러스, 광주FC, 전북 현대 4개 팀이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ACL) 재개와 2025시즌 K리그1 개막을 앞두고 각오를 다졌다.
5일 서울 신문로 축구회관에서 열린 2024-2025 ACL 참가 K리그 4개 팀 미디어데이.
이 4개 팀은 ACL 일정 탓에 먼저 미디어데이를 가졌다. 울산은 김판곤 감독과 김영권, 포항은 박태하 감독과 전민광, 광주는 이정효 감독과 이민기, 전북은 거스 포옛 감독과 박진섭이 참석했다.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ACLE) 리그스테이지 7차전은 오는 11일 오후 7시 포항-가와사키의 경기를 시작으로 같은 날 오후 9시 산둥-광주, 12일 오후 9시 부리람-울산의 경기가 차례로 열린다.
전북은 13일 오후 9시 포트FC를 상대로 AFC 챔피언스리그2(ACL2) 16강전을 치른다.
나머지 8개 팀의 개막 미디어데이는 13일 오전 10시 30분 서울 서대문구 스위스 그랜드 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릴 예정이다. ACL에 참가하는 4개 팀은 개막 미디어데이에 참석하지 않는다.
2025시즌 K리그1 각오 다지는 울산, 포항, 광주, 전북 감독. 한국프로축구연맹지난 시즌 K리그1 3연패를 달성한 울산 김판곤 감독은 "올 시즌 4연패를 달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어 "ACLE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였으나, 올해는 더 좋은 모습을 보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면서 "클럽월드컵에도 참가하는데, 자신감을 느낄 수 있는 좋은 경기력으로 좋은 결과까지 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김영권은 "이번 시즌에는 총 4개 대회를 준비해야 한다. 내용과 결과를 모두 잡기 위해 전지훈련부터 잘 준비했다"면서 "4개 대회에서 모두 좋은 성적을 거두는 게 목표"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코리아컵 '디펜딩 챔피언' 포항의 박태하 감독은 "지난해는 어렵게 시작했지만 마지막에는 웃을 수 있었다"면서 "올해는 지난해보다 여유가 있다. 지난 시즌 화려했던 선수들과 함께해서 더 좋은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시즌보다 더 좋은 성적과 코리아컵 3연패를 향해 잘 준비하겠다"고 덧붙였다.
전민광은 "전지훈련 동안 모두 잘 준비했다. 코리아컵에서 우승하면서 자신감이 넘치는 상태다"라면서 "2025시즌에도 포항 팬들에게 좋은 모습을 보여드릴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광주 이정효 감독은 "훈련은 아직 만족할 수준은 아닌 것 같다. 그래도 개선되고 있는 부분은 있다"면서 "어떤 팀이 6위가 되든, 바짓가랑이를 잡더라도 중위권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이를 악물었다.
이민기는 "올 시즌도 더 높은 곳으로 도약하기 위해 도전할 생각이다. 그만큼 준비도 잘 마쳤기 때문에 팬들께서 응원해 주시고 즐겨주시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새롭게 전북 지휘봉을 잡은 거스 포옛 감독은 "전북에 오게 돼 너무 행복하다. 전북은 항상 트로피를 목표로 하는 팀이라는 걸 알고 있다"면서 "지난 시즌에는 힘든 시간을 보냈다. 현실적으로는 지난 시즌보다 나은 모습을 보이는 걸 목표로 시즌을 치러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장기적으로는 전북의 원래 위치로 돌아가는 게 목표다. ACL2에 참가 중인데, 여기서 트로피까지 들어 올린다면 환상적인 시즌이 될 것 같다.
박진섭은 "새로운 감독님과 함께 새로운 도전을 하게 됐다. 팬들께서 기대해 주시는 만큼 부응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 같다"며 각오를 다졌다.
파이팅 외치는 김영권, 전민광, 이민기, 박진섭. 한국프로축구연맹2025시즌 K리그1는 평소보다 일찍 시즌을 출발한다. 15일 공식 개막전인 포항-대전을 시작으로 제주-서울, 광주-수원FC가 펼쳐진다. 16일에는 울산-안양, 전북-김천, 대구-강원이 맞붙는다.
3·1절 막을 열었던 지난 시즌보다 개막이 약 2주 앞당겨진 것. 이는 카타르 월드컵 개최로 역대 가장 이른 개막(2월 19일)을 했던 2022시즌보다 4일이나 빠르다.
4~5월 ACLE 토너먼트, 6월 국제축구연맹(FIFA) 클럽월드컵, 7월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 개최 영향으로 이른 개막을 하게 됐다.
K리그1 공식 개막전인 울산과 포항의 맞대결은 펼쳐지지 않는다.
기존 K리그1 공식 개막전은 직전 시즌 리그 우승팀(홈)과 코리아컵 우승팀(원정)의 맞대결이었다. 지난 시즌 성적을 기준으로 하면 울산(홈)과 포항(원정)이 맞붙어야 한다.
하지만 두 팀 모두 ACLE 일정 탓에 무리가 있다고 판단돼 대진이 변경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