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LG? 두산? 키움?' 어떤 팀이 SD·다저스 연습 파트너 될까

'LG? 두산? 키움?' 어떤 팀이 SD·다저스 연습 파트너 될까

MLB 제공MLB 제공
사상 처음으로 서울에서 열리는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 리그(MLB) 공식 개막전을 앞두고 방한 예정인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 LA 다저스의 연습 파트너가 어느 팀이 될지 관심이 몰리고 있다.

MLB는 지난 1일 공식 한글 인스타그램 계정을 통해 "내년 시즌 개막은 서울에서 열린다"며 샌디에이고와 다저스가 맞붙는다고 공지했다. MLB 경기가 한국에서 열리는 건 처음이다. MLB 사무국은 '야구의 세계화'를 목표로 2024년 정규 시즌, 이벤트 경기 등을 '미국 외 국가'에서 치르기로 했다. 장소는 키움 히어로즈 홈 구장인 서울 고척 스카이돔이다.

특히 이 경기는 김하성의 현 소속팀 샌디에이고, 박찬호와 류현진의 전 소속팀 다저스의 매치업으로 한국 야구팬들도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게다가 '일본 야구 천재'이자 MLB 최고의 슈퍼스타 오타니 쇼헤이(28)가 다저스 유니폼을 입게 되면서 엄청난 흥행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세계적인 스타들이 즐비하는 두 팀의 스파링 상대에 대한 궁금증도 늘어나고 있다. 서울을 연고로 둔 KBO 리그 팀들과 새롭게 구성될 한국 야구대표팀 등이 거론된다. KBO 사무국은 KBO 리그 정규 리그 개막일, 경기장 등을 다방면으로 고려해 MLB의 연습 경기 파트너와 시범 경기 일정 등을 결정할 계획이다.

내년 KBO 정규리그 개막은 3월 23일에 열린다. MLB 개막전이 이를 앞두고 직전에 개최되는 것을 고려해 상대는 서울을 연고로 둔 LG 트윈스, 두산 베어스, 키움 히어로즈 3팀이 유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3팀 모두 샌디에이고와 다저스의 연습 상대로 충분하다. LG는 올해 29년 만에 한국시리즈 정상에 오른 KBO리그 챔피언이다. 두산은 7년 연속 한국시리즈에 오른 당대 최고 명문 구단이다. 키움은 김하성과 이정후(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등 메이저 리거를 연속으로 배출했고, MLB 개막전을 위해 홈 구장을 제공하기도 했다.

다저스와 경기 중 환호하는 김하성. 연합뉴스 다저스와 경기 중 환호하는 김하성. 연합뉴스 
또 새롭게 구성될 야구 국가대표팀이 두 팀과 맞설 가능성도 언급된다. 조만간 프리미어12,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대표팀을 이끌 새 전임감독이 선임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KBO는 이 대회를 앞두고 국가대표와 MLB 팀의 평가전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성사된다면 신임 감독의 데뷔전은 MLB 팀들과의 대결이 된다.

아직 샌디에이고와 다저스의 방한 일정이 확정된 건 아니다. 두 팀은 3월 14일(한국 시각) 각각 시범경기를 마치고 서울행 비행기에 오를 것으로 추측된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전체 댓글 7

새로고침
  • NAVER뭐라할까2021-01-08 00:04:53신고

    추천0비추천0

    난 이정권하고 안녕이다. 공정, 공평이런 것들을 압력단체에 팔아 먹는다. 그리고 의료수가 올려주겠지. 의사되면 재벌되는거구나.. 하긴 더블당과 국짐당하고 어떤 차이가 있는지 참 궁금했다. 결국은 없다.

  • NAVER난나야2021-01-07 22:03:59신고

    추천0비추천0

    원래 부터 문재인대통령 자체가 국정 철학이 없던게 아니냔 생각이 든다. 변창흠같이 지하철노동자의 죽음을 본인책임으로 몰아가는 한심한 인간을 장관으로 임명해주는거 보며 진짜 학을 띠었다. 홍남기를 앞에두고 선별적지원이나 하고 대다수 국민들은 알아서 하라고 하는거 보면서 너무너무 실망했다. 유럽이나 미국 좀 봐라. 홍남기 기준으론 아주 망해도 벌써 몇십번 망했을 국가들 잘 돌아간다. 가계부채가 1000조가 넘어가는데 국가는 부유해지고 있다는게 말이되냐? 너무 너무 한심해.

  • NAVER취하곰2021-01-07 20:11:06신고

    추천1비추천1

    조국 딸도 보겠네.
    문재인 정권 이제 갈곳을 모르는것 같다.

더보기 +


제 21대 대통령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