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미국과 우크라이나 정부 간 '광물 협정'이 30일(현지시간) 체결됐다.
미국 재무부는 이날 "양국은 미국·우크라이나 재건 투자 기금 설립을 위한 협정에 서명했다"고 발표했다.
협정 내용이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이번 협정에는 미국과 우크라이나가 우크라이나의 희토류 등 광물자원·석유·가스·기타 천연자원에 대해 공동 투자 관계를 구축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재무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러시아의 전면 침공 이래 미국이 우크라이나 방어에 제공한 중대한 재정적, 물질적 지원을 인정하는 가운데, 이번 협정을 통해 양국이 우크라이나의 경제 회복을 가속할 수 있도록 협력하고 함께 투자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는 그동안 러시아의 침공 책임을 거론하기 꺼렸던 트럼프 행정부가 이같은 사실을 공식적으로 언급했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부분이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우리는 이 잔인하고 몰상식한 전쟁을 끝내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양국 정부는 우크라이나와 미국 국민 모두를 위한 이 역사적인 협정이 신속하게 운영되기를 고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인해, 양국이 현금으로 출연할 공동 투자 기금은 미국이 통제하게 되며 기금으로 이전된 수익에 대해서는 미국이 우선권을 부여받게 된다.
미국 측에서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향후 군사원조 기여금을 이번에 설립되는 기금에 기여하는 부분으로 간주할 수 있도록 했다.
연합뉴스
또한 이번 협정에 우크라이나에 대한 구체적 안전 보장 문제는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양국 간 전략적 협력 관계가 명시됐고, 미국의 기존 안보 지원에 대한 보상 문제도 빠지는 등 우크라이나에 다소 유리한 내용도 포함됐다.
당초 양국은 지난 2월말 광물 협정에 서명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이를 위해 워싱턴DC를 찾았던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안전 보장 문제'를 놓고 트럼프 대통령·벤스 부통령과 정면으로 충돌하면서 협정 서명식은 무기한 연기됐다.
이후 젤렌스키 대통령이 사과하면서 양측은 다시 협상을 벌여 최근 광물협정 체결을 위한 의향서에 서명하는 등 협정 타결이 초읽기에 들어갔음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