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中 반기는 'FIFA 월드컵 64개국 확대안', 북중미도 "논의 가치 없다"

中 반기는 'FIFA 월드컵 64개국 확대안', 북중미도 "논의 가치 없다"

남미 측 제외한 유럽, 아시아, 북중미 대륙 연맹 모두 반대

AI가 예측한 2030년 월드컵 본선 참가 64개국. 폭스 스포츠AI가 예측한 2030년 월드컵 본선 참가 64개국. 폭스 스포츠
오는 2030년 국제축구연맹(FIFA) 월드컵 대회 본선 출전 국가 수를 64개로 확대하자는 제안에 유럽, 아시아 뿐 아니라 북중미까지 반대 의사를 표했다.
 
2030년은 FIFA 월드컵 100주년이 되는 해다. 100주년 기념 '64개국 체제 월드컵'은 남미 측의 아이디어다. 지난달 초 열린 FIFA 평의회 회의에서 우루과이축구협회 이그나시오 알론소 회장이 2030년 대회만 참가국을 64개로 늘리자고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제안이 잔니 인판티노 FIFA 회장의 지지를 받는 걸로 보인다는 외신 보도까지 나왔으나, 각 대륙 연맹 수장들의 일제 반대에 부딪히고 있다.
 
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CONCACAF) 빅터 몬탈리아니 회장은 15일(한국 시간) 스포츠 매체 ESPN과 인터뷰에서 "아직 48개국이 나서는 월드컵도 해본 적 없다"며 "64개국 확대 안건은 논의할 가치도 없다"고 일축했다. 이어 "넓은 축구 생태계에도 바람직하지 않은 결정"이라고 부연했다.
 
셰이크 살만 빈 에브라힘 알 칼리파 AFC 회장. 연합뉴스셰이크 살만 빈 에브라힘 알 칼리파 AFC 회장. 연합뉴스
앞서 아시아축구연맹(AFC) 셰이크 살만 빈 에브라힘 알 칼리파 회장은 지난 12일 AFP통신과 인터뷰에서 "혼란만 초래할 것"이라며 "누군가는 132개국으로 늘리자고 요구하게 될 수도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유럽축구연맹(UEFA) 알렉산데르 체페린 회장도 이달 초에 "(64개국 확대안은) 나쁜 생각으로, 당치도 않다고 생각한다"고 잘라 말했다.

이로써 남미 측을 제외한 유럽, 아시아, 북중미 대륙 연맹 모두 '64개국 대회'에 일제히 반대 목소리를 낸 셈이 됐다. 반면, '2002 한일 월드컵' 때 한국, 일본이 대륙별 예선전에 나가지 않은 영향으로 단 한번 월드컵 본선 무대를 밟아 본 중국은 내심 반기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1930년 우루과이에서 첫 대회를 치른 FIFA 월드컵은 1998년 프랑스 대회부터 32개국이 본선에 출전해 왔다. 북중미 3개국(미국, 캐나다, 멕시코)이 공동 개최하는 2026년 대회에서는 48개국으로 참가국 수가 확대됐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