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4선 의지' 강한 정몽규 축구협회장, AFC 집행위원 당선



축구

    '4선 의지' 강한 정몽규 축구협회장, AFC 집행위원 당선

    정몽규 대한축구협회장. 황진환 기자정몽규 대한축구협회장. 황진환 기자정몽규 대한축구협회장이 아시아축구연맹(AFC) 집행위원으로 선출되며 국제 축구 외교 무대에 복귀했다.  

    대한축구협회는 16일 "정몽규 회장이 이날 태국 방콕에서 열린 2024 아시아 축구연맹(AFC) 총회에서 AFC 집행위원으로 선출됐다"고 밝혔다. AFC 집행위원 임기는 2027년 정기 총회까지다.

    집행위원회는 AFC의 최고 의결 기구다. AFC 회장 1명과 부회장 5명, 지역 연맹에 할당된 쿼터에 따라 선출된 집행위원들까지 총 30명으로 구성된다.

    동아시아에는 6장의 집행위원 쿼터가 배정돼 있으며, 이중 한 자리가 2023년 2월 열린 AFC 총회 이후 공석이었다. 공석에 대한 선거는 차기 총회에서 실시한다는 AFC 정관에 따라 이번 총회에서 선거가 진행됐다.

    정 회장은 이번 선거에 단독으로 출마해 AFC 정관에 따라 투표 없이 추대로 선임이 확정됐다. 정 회장 외에도 중앙아시아에 할당된 여성 위원 몫으로 단독 출마한 미고나 마흐마다리에바(타지키스탄) 위원도 함께 선임됐다.

    한국 축구 입장에서 한국인 AFC 집행위원이 선임된 건 분명 긍정적인 부분이다. 하지만 최근 정 회장을 향한 사퇴 여론 탓에 오히려 더 큰 빈축을 살 것으로 보인다. 정 회장의 집행위원 출마는 대한축구협회장 4선 도전을 위한 준비 작업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한국 축구 대표팀은 지난 1월 열린 2023 카타르 아시안컵 준결승에서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손흥민(토트넘), 이강인(파리 생제르맹), 김민재(바이에른 뮌헨) 등 역대 최고 전력으로 꼽혔음에도 부진한 모습을 보여 64년 만의 우승에 실패했다.

    잦은 외유와 재택 근무 등으로 논란을 일으킨 위르겐 클린스만 전 감독은 아시안컵 탈락의 책임을 지고 지휘봉을 내려놓았다. 또 클린스만 감독 선임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진 정 회장의 사퇴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들끓었다.

    여기에 황선홍 감독이 이끌던 23세 이하(U-23) 대표팀마저 2024 파리 올림픽 최종예선에서 탈락해 10회 연속 올림픽 본선 진출이 무산됐다. 특히 올림픽 예선에 집중하기 바쁜 시기였던 지난 3월 황 감독에게 A대표팀 임시 사령탑을 맡긴 게 올림픽 본선 진출 실패로 이어졌다는 지적을 받았다.

    비난의 화살은 협회 운영의 총책임자인 정 회장에게 향했다. 축구계에서는 여전히 정 회장의 사퇴를 촉구하는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정 회장은 AFC 집행위원 출마를 통해 대한축구협회장 연임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