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이산가족 10명 중 8명 "아직 북한 가족 생사 확인 못 해"

  • 0
  • 폰트사이즈
    - +
    인쇄
  • 요약


통일/북한

    이산가족 10명 중 8명 "아직 북한 가족 생사 확인 못 해"

    핵심요약

    통일부, '3차 남북이산가족 실태조사' 결과 발표
    표본조사 결과 절반 정도는 민간 교류 통해 생사 알아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당국 차원 교류 선호
    "결과 믿을 수 있다", "신변 안전 보장", "비용 부담 없다"가 이유
    가장 시급한 정책은 '생사 확인과 사망시 통보제도 추진'

    지난 2018년 8월 상봉행사를 마친 북측 이산가족이 금강산 호텔에서 북측으로 향하는 버스에 탑승한 후 눈물을 훔치며 작별 인사를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지난 2018년 8월 상봉행사를 마친 북측 이산가족이 금강산 호텔에서 북측으로 향하는 버스에 탑승한 후 눈물을 훔치며 작별 인사를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국내외에 살고 있는 이산가족 10명 중 8명 정도가 아직 북한에 있는 가족 생사를 확인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북한 지역에 거주하는 친인척이 사망했을 때 남측 가족에게 통보하는 제도 도입을 가장 시급한 정부 정책으로 꼽았다.

    통일부가 9일 발표한 '3차 남북이산가족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외에 살고 있는 이산가족 찾기 신청 생존자 4만 7004명 중 표본으로 뽑힌 5354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응답자들 가운데 82%는 아직 북한 가족 생사를 확인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생사를 확인했다고 답한 응답자(18%) 가운데 절반 정도를 차지하는 50.8%는 민간교류를 주선한 단체나 개인에 의뢰해 북한 가족 생사를 알게 됐다. 당국 차원 교류 대상자로 참여하면서 알게 된 경우는 24.4%에 그쳤다.

    하지만 교류 주체별 선호도를 물었을 때 당국 차원 교류를 선호한다는 응답이 93.7%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민간 교류를 희망한다는 응답은 6.3%에 그쳤다.

    그 이유로는 생사 확인 결과를 신뢰할 수 있기 때문(56.1%)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본인과 북한 가족 신변 안전이 보장된다(26.1%)는 점과 교류에 들어가는 비용 부담이 없다(13.0%)는 점도 당국 차원 교류를 선호하는 이유로 꼽혔다.


    반면 민간 교류를 희망한다고 답한 사람의 39.1%는 이유로 '당국교류 대상자로 지정되는 것이 너무 어렵기 때문'을 꼽았다. 본인 의지만 있다면 교류를 추진할 수 있다(36.1%)는 점도 민간 차원 교류를 원하는 주된 이유 중 하나였다.

    관련 정책 중 가장 시급한 정책을 묻자 65.8%는 '전면적인 생사 확인 및 사망시 통보제도 추진'을 꼽았다.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29.6%), 남북간 서신교환 제도 마련(25.8%), 추석 등 특별한 시기에 정기적 고향 방문 추진(18.5%), 화상상봉 활성화(13.7%), 당국 차원의 전화 통화 제도 도입 및 활성화(12.6%) 등이 뒤를 이었다.

    이들이 가장 선호하는 교류 형태는 전면적 생사확인(47.8%)이었다. 고향방문(18.2%)과 대면상봉(16.5%)이 그 뒤를 이었고, 전화 통화(5.0%)나 서신·영상편지 교환(4.4%), 화상상봉(3.5%)이라고 답한 사람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