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북한군 포로 "대한민국에 가고 싶다, 나는 아직 젊다"

통일/북한

    북한군 포로 "대한민국에 가고 싶다, 나는 아직 젊다"

    포로로 잡힌 북한군, 언론인터뷰서 한국행 의사 표명
    "무인기 조종사가 모두 한국군, 한국군과 싸우는 줄 알아"
    "부모님 기대에 어긋나지 않게 내 꿈 이루고 싶아
    정부 "북한군 포로도 헌법상 우리 국민" 입장 견지

    북한군 포로. 연합뉴스북한군 포로. 연합뉴스
    우크라이나 군에 붙잡힌 북한군 포로가 한국으로 가고 싶다는 의사를 표명했다.
     
    우크라이나 군이 지난 달 생포한 북한군 포로 리모씨는 19일 공개된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80%는 결심을 했다"며 "우선은 난민 신청을 해가지고 대한민국에 갈 생각"이라고 밝혔다.
     
    리씨는 "내가 난민 신청을 하면 받아줄까요?"라며 반문을 하기도 했다.
     
    '정찰총국' 소속으로 지난 2015년에 입대했다는 리씨는 "유학생으로 훈련한다고 들어서 전투에 참가할 줄은 몰랐다"며 "쿠르스크 지역의 대기구역에 와서 (전투에 참여한다는 사실을) 알려줬다"고 말했다.
     
    리씨는 500여명으로 구성된 대대마다 보위부 요원이 한두 명씩 배치돼 근무와 사상통제를 하는데 "(보위부 요원이) 전투에 참여하기 전에 무인기 조종사들이 몽땅 대한민국 군인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에 북한군은 이 말을 믿고 한국군과 싸운다는 생각으로 전투에 임하고 있는 것이냐는 질문에 리씨는 고개를 끄덕이며 인정했다.
     
    리씨는 "인민군대 안에서 포로는 변절과 같다. 포로가 된 게 우리나라 정부에 알려지면 아버지와 어머니가 평양에 있지 못하게 될 것"이라며 지금 북으로 돌아가더라도 여러 가지 고난이 있지 않겠느냐는 질문에 "당연하다"고 말했다.
     
    리씨는 "군대에 와서 인간으로서 체험해 볼 수 있는 악조건을 모두 체험해 본 것 같다. 죽을 고비도 수 없이 당해봤다"고 한숨 쉬며 말한 뒤 "나도 부모님 기대에 어긋나지 않게 내 꿈을 이루고 꽃피워 보고 싶다. 나는 아직 나이가 젊다"고 말했다.
     
    리씨는 "(제대 후) 공부를 해서 대학을 다니려고 했다"며 "아버지와 친척들을 놓고 보면 모두 과학자 집안이서 나도 공부를 하려고 했다"고 덧붙였다.
     
    북한군 포로. 연합뉴스북한군 포로. 연합뉴스
    외교부와 통일부, 국정원은 지난 달 우크라이나 군에 생포된 북한군 포로와 관련해 "북한군은 헌법상 우리 국민인 만큼 귀순을 요청할 경우 우크라이나와 협의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정부는 한국에 오고 싶다는 리씨의 의사가 언론 인터뷰를 통해 확인된 만큼 향후 그의 의사를 직접 확인한 뒤 협의에 나선다는 방침으로 알려졌다.
     
    다만 제네바 협약에 따르면 전쟁 포로는 종전 후 지체 없이 본국으로 송환돼야한다. 따라서 리씨의 한국행은 이런 내용의 협약을 적용하지 않고 예외로 인정할 때 가능성이 생긴다.
     
    포로로 잡힌 리씨가 북한에 돌아가면 심각한 인권침해 위협에 직면할 수 있는 만큼 포로 송환의 예외에 해당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정부가 리씨의 한국행을 놓고 우크라이나 정부와의 협상에 본격 나설지 주목된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