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청 제공 인구 감소에 직면한 경상남도가 총인구 '330만 명' 유지를 목표로 총력 대응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5개월 만에 인구가 순유입으로 전환됐다.
통계청의 '2025년 4월 국내인구 이동통계'에 따르면, 경남은 224명이 순유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은 규모이지만, 2018년 5월 이후 6년 10개월 만에 최대치다.
경남은 2018년 5월 순유입 이후 순유출로 전환됐다가 지난해 10월 184명, 11월 94명 등 반짝 순유입을 보인 뒤 12월부터 다시 유출이 증가했다. 그러다가 지난 4월 들어 20대 순유출 규모가 크게 줄며 순유입으로 재전환됐다.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누적 순유출 규모는 4505명으로, 최근 10년 새 같은 기간 유출이 가장 극심했던 2023년 8816명과 비교해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특히, 청년층(20~39세)의 4월 순유출 규모는 170명으로, 2017년 2월 이후 7년 4개월 만에 가장 적었다.
20대 후반(25~29세) 여성이 9개월 만에 순유입(21명)으로 재전환됐고, 20대 초반(20~24세) 순유출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4%나 줄어든 265명을 기록했다. 30대는 지난해 6월 이후 11개월 연속 순유입을 이어갔다.
혼인 건수와 출생아 수의 증가도 눈에 띈다.
지난 3월 기준 도내 혼인 건수는 975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865건)보다 12.7% 늘었다. 1분기 누적 혼인 건수도 6.6% 증가한 3086건으로 집계됐다.
출생아 수 역시 1분기 3473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440명)과 비교해 소폭이지만 1% 증가했다. 여자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뜻하는 합계출산율은 0.89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0.86명)보다 0.03명 늘었다.
도는 보통 혼인 후 2~3년 이내에 출산이 이어지는 흐름을 고려할 때 출생아 수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했다.
도는 올해 1월 인구정책 전담부서인 '인구미래담당관실'을 신설하며 인구 늘리는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지난달 인구정책 전담팀을 가동해 저출생 극복과 생활인구 확대를 위한 정책도 발굴하고 있다.
도는 2030년까지 총인구 330만 명 유지, 합계출산율 1명 회복, 청년인구 비중 20% 유지, 외국인력 10만 명 유입 등을 목표로, 저출생 극복·청년인구 유출 대응·생활인구 확대 등 3대 분야 10대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