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원전 해체 시작한 한국, '500조 블루오션' 향해 닻 올렸다

LIVE

원전 해체 시작한 한국, '500조 블루오션' 향해 닻 올렸다

고리 1호기 해체 승인…한국, 첫 상업용 원전 해체 착수
장시간 걸쳐 고비용, 전문 인력 투입해야…고난도 작업
해체 경험 있는 국가 손꼽을 정도…"미국이 선두주자"
글로벌 원전 해체 수요는 ↑…"시장 가치 최대 2천조"
전문가 "고위험 작업에 로봇, AI 활용 기술개발 지속해야"

고리 1호기 전경. 한국수력원자력 제공 고리 1호기 전경. 한국수력원자력 제공 
한국 첫 상업용 원자력발전소인 고리 1호기가 해체의 첫 발을 뗀 가운데 이번 경험이 천문학적인 규모로 예상되는 글로벌 원전 해체 시장 개척의 원동력이 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상업용 원전 해체는 통상 원전 1기당 10년 이상의 기간, 1조원 대의 자금이 투입되는 대형 프로젝트이지만, 고도의 기술력이 필수적이고 관련 경험을 보유한 국가는 극소수여서 글로벌 원전 해체 산업은 '블루오션'으로 여겨진다.

일각에선 원전 뿐 아니라 원자력 관련 시설까지 해체 시장의 범위를 넓히면 그 가치가 수천조에 달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경쟁자 적고 시장 가치 천문학적인 글로벌 '원전 해체 시장' 

최원호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이 26일 서울 중구 원자력안전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216회 원자력안전위원회 회의에서 위원들과 안건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원자력안전위원회 제공최원호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이 26일 서울 중구 원자력안전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216회 원자력안전위원회 회의에서 위원들과 안건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원자력안전위원회 제공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는 지난 26일 회의를 열고 부산 기장군에 있는 국내 첫 상업용 원전인 고리 1호기 해체 승인안을 의결했다. 지난 1978년 가동을 시작한지 47년, 2017년 영구정지로 부터 8년 만이다.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해체 승인을 계기로 고리 1호기를 단계적으로 해체하고 부지를 복원할 계획이다. 해체사업은 '해체 준비 → 주요 설비 제거 → 방사성폐기물 처리 및 부지 복원'의 순으로 추진된다. 한수원은 이미 지난해 사전 작업으로 방사성 물질을 제거하는 제염 작업을 진행해왔는데 다음 달부터 일부 건물 내 설비부터 본격적인 해체 작업에 돌입한다.
 
한수원은 해체 종료 시점을 12년 뒤인 2037년으로 제시했다. 해체 비용은 1조 713억 원 규모로 추산됐다. 작업 완료 때까지 투입 인력도 단계적으로 늘린다 방침이다. 한수원은 관련 전문과정을 거친 인력만 599명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한국으로서는 처음으로 시작하는 원전 해체는 이처럼 투입 시간과 비용, 인력이 상당한 고난도 작업이다. 그런 만큼 경험을 가진 국가 자체가 적다. 원안위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전 세계적으로 미국(20기), 독일(3기), 일본과 스위스(각각 1기) 등 4개국만 원전을 해체해 본 경험이 있다. 다만 미국을 제외하면 대부분 연구로 혹은 실증로를 해체한 경우로, 상업용 원전을 해체해 본 경험이 있는 국가는 미국이 유일하다.
 
경쟁자는 제한적이지만 시장은 빠르게 커지고 있다. 업계에선 글로벌 원전 해제 시장 규모가 500조원 이상으로 커질 것으로 전망한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따르면 전 세계 영구정지 원전은 210기가 넘고, 2050년까지 약 600기 이상의 원전이 해체될 전망이다. 원전해체 산업이 '기회의 장(場)'으로 여겨지는배경이다.
 
황주호 한수원 사장도 "고리 1호기 해체는 단순한 설비 철거를 넘어 국내 해체 기술 내제화 외 전문 인력 양성, 산업 생태계 조성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이번 해체 작업 착수의 의미를 평가했다.

특히 해체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경우 한국은 원전 건설부터 운영, 해체까지 '전(全) 주기 관리 체계'를 갖추게 된다는 점도 기대감을 모으는 대목이다.
 

"원전 외 시설 해체까지 수천조 시장…고리 1호 프로젝트는 기회"

학계의 의견도 크게 다르지 않다. 한양대 원전해체연구센터 센터장으로서 원전 해체 기술 연구를 이끌고 있는 김용수 교수는 27일 CBS노컷뉴스와 통화에서 "고리 1호기 해체는 '헤비급 프로젝트'"라며 "이걸 잘 해낸다면 원전 뿐 아니라, 나머지 중량·경량급 프로젝트인 원자력 관련 시설 해체 역량까지 갖추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관련 시설이라는 것은 핵연료 가공 공장, 재처리와 연구 시설, 연구로 등을 포괄하는데, 전세계에 널리 퍼져있다. 이를 해체 시장 가치에 포함 시키면 2천조 원 규모"라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글로벌 원전 해체 기술 국가 현황에 대해 "원전 해체 시장의 경쟁자는 현재로선 미국과 독일 정도인데 독일은 국내 원전 해체에 집중하고 있는 터라 국제적인 마켓에 관심을 가질 여력이 되지 않는다고 평가된다"며 "일본의 경우는 모든 연구자와 돈을 후쿠시마 원전에 투입하면서 발이 묶인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원전 해체 과정에서 가장 까다로운 작업이 핵분열이 일어나는 노심으로의 접근인데, 이를 안전하고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선 로봇과 인공지능(AI) 등 한국의 준비된 신기술을 접목 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해체 시 가혹한 조건에서의 작업을 어떻게 빨리, 안전하게 잘 할 수 있는가가 관건"이라면서 "고리 1호기 해체, 즉 K디커미셔닝(Decommissioning·해체)이 성공한다면 그 경험을 갖고 충분히 글로벌 마켓을 차지할 수 있다"고 기대했다.
 

한수원 등 원전 해체 기술 96개 보유…중수로 해체 기술 추가 확보

한수원은 지난 2015년 정부가 발표한 '원전 해체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에 따라 현재 96개 원전 해체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핵심 기반 기술 38개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상용화 기술 58개는 한수원에서 각각 갖고 있다.
 
한수원은 이에 그치지 않고 정부 연구개발(R&D) 사업 활용과 자체 연구과제 수행을 통해 중수로 해체 기술 등을 추가로 확보할 계획이다.

한편 한국이 원전 해체 시장이라는 '기회의 문'으로 들어섰다는 기대감이 시장에서도 확대되면서 이날 원전 관련 업체들의 주가는 눈에 띄는 상승세를 보이기도 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2

2

전체 댓글 0

새로고침

    고독 死각지대, 고립청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