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대통령선거 투표일인 3일 서울 영등구포의 한 투표소에서 유권자들이 투표를 하고 있다. 윤창원 기자제21대 대통령 선거가 치러지는 3일, 주요 외신들은 한국의 선거 상황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실시간으로 관련 소식을 전했다. 이들은 4일부터 출범할 새 정부가 직면하게 될 주요 과제로 사회 통합과 경기 회복, 트럼프발(發) 대외정책 조율 등을 지목했다.
이재명 "탄핵 주도", "분열 상징" vs 김문수 "尹 측근", "운동권 출신 극우"
2일(현지시간) AP통신이 한국의 대선 상황을 보도했다. AP통신 캡처
외신들은 가장 먼저 유력 대선 후보들의 이력을 소개한 가운데 민주당 이재명 대통령 후보를 향해선 '개혁가'이자 '분열의 상징'으로 조명했다.
AP통신은 이 후보를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을 주도한 야당 캠페인의 중심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12월 3일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직후, 이 후보가 국회에서 계엄 해제 결의안을 통과하도록 주도한 사실을 강조했다. 이 과정에서 이 후보를 중심으로 정치 세력이 결집했다고 짚었다.
AP는 "그의 인기를 뒷받침한 것은 그가 직접 만들어낸 성공 스토리"라며 공장 노동자에서 인권 변호사를 거쳐 유력 대선 주자로 성장한 이력이 대중적 호소력을 높인다고 평가했다.
이 후보를 향해 "한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동시에 분열을 조장하는 정치인"이라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의 평가도 눈에 띄었다.
뉴욕타임즈(NYT)가 3일 '불안정한 세계 속에서 분열된 국가를 물려받을 한국의 새 지도자'라는 기사를 통해 대선 상황을 보도했다. NYT 캡처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윤석열의 측근'이자 '운동권 출신의 강경 보수주의자'로 소개됐다.
김 후보의 경우 탄핵 당한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가 가장 먼저 부각됐다. AP통신은 "김 후보가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 대한 사과의 의미로 일어서서 사과하라는 민주당 의원의 요청을 거부한 뒤 보수층의 잠재적 대표자로 급부상했다"고 전했다.
다만 보수 내부에서는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 설정을 어떻게 평가할지를 놓고 갈등이 이어지고 있어, 김 후보가 중도층 지지를 끌어내는 데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분석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김 후보가 한때 진보 성향의 노동 운동가였으나 이후 강경 보수로 전향했다고 전하기도 했다.
"尹에 대한 국민투표…양극화 줄여야", "트럼프 관세 정책 돌파구 마련 시급"
2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가 한국의 대선 상황을 보도했다. WP 캡처
외신들은 차기 정부의 최우선 과제로 '사회 통합'을 꼽았다.
뉴욕타임스(NYT)는 "한국 사회는 극심하게 분열돼 있다"며 "모든 주요 후보가 정치 양극화를 가장 시급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WP는 "이번 선거는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국민투표의 성격이 강하다"며 "소득 격차, 성 불평등, 세대 갈등, 이념 분열 등 한국 사회의 구조적 문제가 계엄령 사태 이후 더욱 심화됐다"고 분석했다. 이어 윤 전 대통령의 무리한 계엄령 조치와 근거 없는 부정선거론이 극우 세력의 부상을 촉진했다며 이 후보의 피습 사건 등을 거론하기도 했다.
경제 회복과 외교 정책도 차기 정부의 주요 과제로 떠올랐다. 로이터는 "새 정부는 미국의 보호무역주의와 관세 정책 속에서 한국 경제의 안정을 도모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며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가 외부 압력에 특히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WSJ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과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 문제, 북·중 관계 설정 등 외교 과제들을 조명했고, NYT는 "새 대통령은 최대 교역국인 중국과 관계를 개선하면서도, 동맹국 미국의 '중국 봉쇄 전략' 요구 사이에서 균형을 잡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