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오전 광주 동구 전일빌딩 245에서 열린 제45주년 5·18 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의 언론간담회에서 류성 총감독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45주년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는 17일 오전 11시 광주 전일빌딩245 4층 시민마루에서 언론간담회를 열고 제45주년 5·18기념행사 추진계획을 밝혔다.
17일 제45주년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이하 '행사위')에 따르면 행사위는 '아! 오월, 다시 만난 오월'을 슬로건으로 걸고, 중점사업인 전야행사 '오월 광주, 민주주의 대축제'를 5월 17일부터 18일까지 금남공원 일대 사거리에서 열 예정이다. 5월 17일에는 시민난장, 민주평화대행진, 전야제, 오월풍물굿 대동한마당을 진행하고, 18일에는 민주대성회와 광주인권상 시상식 등이 열릴 예정이다.
또 5월 24일 오후 1시 5·18청소년문화제가 열릴 예정이다.
또한 시민공모사업으로 모집된 42개 사업과 1개의 청년사업, 1개의 청소년사업을 진행하고, 전국광역시·도 9개 지역에 행사도 지원한다.
5월 17일 오전 11시 금남공원 사거리 일대에서 독립로~금남로에 이르는 사방을 막고 1980년 광주가 겪었던 오월과 12·3 내란에 대한 시민들의 저항을 교차한다. 지난 2025년 12월 3일부터 2025년 4월 4일까지 이어졌던 시민들의 연대와 저항, 민주주의 정신의 근원에 1980년 오월광주가 있었음을 알리고, 홍보, 전시, 먹거리, 판매, 체험 등의 형태로 일대를 가득 채우게 된다.
이후 오후 4시 30분 민주평화대행진이 광주 전역 4개 장소에서 출발해 오후 6시 금남로로 행진하여 들어온다. 이날 광주를 찾은 시민들은 금남공원 사거리 가운데에 설치되는 4면 대형 무대를 통해 5․18민중항쟁 45주년 전야제를 관람하게 된다. 또한 공연 이후 밤 9시부터 풍물단과 함께하는 '대동한마당'이 펼쳐질 예정이다. 18일에는 5·18민주광장 무대에서 오후 2시부터 '오월강연대회' 사전 접수를 통해 선정된 시민들의 발언을 듣는 민주대성회를 펼쳐지고, 오후 7시부터는 광주인권상 시상식이 펼쳐질 예정이다.
올해에도 청년PM(프로젝트 매니저) 사업이 펼쳐진다. 44주년 신설되었던 청년기획사업이 올해에도 연속성을 가지고 이어지는 것으로, 12·3 내란을 통해 발화된 청년의 목소리가 5·18민중항쟁기념행사의 중심이 되는 것을 목표로 기획되었다. 청년PM 공모는 선발된 '청년PM'이 청년기획사업을 구상하고 기획과 실행까지 진행하는 능동적인 사업이다.
올해 선정된 임채빈 청년PM은 '청년, 오월을 이어적다'라는 프로젝트를 통해 5·18민중항쟁에 대한 문화컨텐츠를 창작하고, 청년세대를 겨냥한 웹툰, 전시, 음악, 연극 등의 다양한 미디어로 5·18민중항쟁을 재구현하는 사업을 기획하고 있다.
또 청소년이 직접 참여하여 주도적으로 진행하는 청소년 사업의 일환으로 5·18청소년문화제 (부제 : 소년이 온다)가 펼쳐진다. 청소년 기획단과 사무국 운영을 통해 청소년 스스로 추진 및 진행하는 문화제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영역에서 모두 펼쳐진다. '온라인으로 기억하고 실천하는 5·18민주화운동' 프로그램을 통해, 전국 및 해외의 청소년들이 영상, 시화, 필사 등으로 오월 정신을 계승하도록 장려한다.
24일 오후 1시 금남로 일대에서 펼쳐지는 본 행사는 참여부스, 거리공연, 민주성회, 테마전시, 플래시몹 등의 메인 행사가 펼쳐지며, 방탈출 게임, 퀴즈로 만나는 오월과 민주주의, 금남로 놀이터, 금남로 카페테리아 등의 기타 프로그램도 준비된다.
오병윤 상임행사위원장은 "다가오는 45주년 5·18민중항쟁기념행사를 다양한 시민 참여와 행사 과정을 통해 뜨거운 열망까지 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12·3 내란 이후 다시 만날 오월을 희망하는 시민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당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