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수준 미달 지하철 詩, 알고보니 문단 장삿속?"



사회 일반

    "수준 미달 지하철 詩, 알고보니 문단 장삿속?"

     


    ■ 방송 : CBS 라디오 <박재홍의 뉴스쇼=""> FM 98.1 (07:30~09:00)
    ■ 진행 : 박재홍 앵커
    ■ 대담 : 장은수 (문학평론가)

    출근길 만원 지하철을 기다리시면서 지금 이 시간에 라디오 들으시는 분들 많으시죠? 지하철을 기다리는 무료함을 달래주는 게 또 하나 있습니다. 바로 지하철 내의 스크린도어에 실린 시 한편인데요. 대부분 읽기도, 이해하기도 쉬운 시들이죠. 보시면서 '덕분에 웃는다, 또 위로를 받는다' 하는 분들도 계시고요. 그런데 일각에서는 '그래도 시인데 수준이 좀 떨어지는 건 아닌가?'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 화제의 인터뷰에서는 출판사 민음사의 전 대표이자 문학평론가인 장은수 씨를 연결해서 지하철 스크린도어에 실린 시에 대해서 말씀 나눠봅니다. 대표님, 안녕하세요.

    ◆ 장은수> 네, 안녕하세요.

    ◇ 박재홍> 사실 지하철 스크린도어에 광고를 실으면 굉장히 수익이 남을 텐데요. 대신 시를 실었다는 말이죠? 취지는 참 좋은데 어떻게 보십니까?

    ◆ 장은수> 광고 같은 것들을 실으면 수익성에 도움이 되고 그러겠죠. 하지만 시민들이 시를 쉽게 접할 수 있고 그것으로부터 생각의 지평이 넓혀지고 그다음에 기쁨도 얻고, 그런 정신적 행복의 공간으로 지하철의 일부가 할애된 건 굉장히 의미있는 일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 박재홍> 그런데 최근에 스크린 도어에 실린 시들의 수준이 ‘함량 미달이다' 이런 지적도 나오고 있어요.

    지하철 스크린도어에 적힌 시 (사진=유튜브 영상 캡쳐)

     

    ◆ 장은수> 좋은 시들은 약간의 감정을 드러내는 동시에 감추거든요. 감춰서 어떤 생각할 여지를 만들어주는데요. 지하철 스크린도어에 실린 시들은, 생각할 여운이라고 해야 할까요? 그런 것들을 남겨주지 않는 그런 작품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이 정도 수준의 작품이 실려야 하나’ 이런 의견이 많이 나오고 있는거죠.

    ◇ 박재홍> 그런데 사실, 시를 보고 읽을 때 ‘좋다, 나쁘다’, 그리고 말씀하신 것처럼 생각할 여지라든가, 여운 같은 건 굉장히 주관적인 요소가 될 수 있을 것 같아요. 객관적 기준으로 재단할 수 있느냐는 반론이 가능할 것 같은데요.

    ◆ 장은수> 시의 평가에는 객관적 평가가 있을 수 없죠. 주관적으로 받아들이는 거니까요 그런데 '어떤 시가 좋은 시냐?' 라고 한다면, 보통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어떤 감각을 조금 더 확장시켜주고, 생각을 좀 더 깊게 만들어주고 어떤 대체적인 합의가 가능하다고 생각을 하거든요. 그런데 그만한 수준의 작품들도 게재가 되어 있지만, 상당수의 시들이 그러지 못하고 있는 거죠. 그런 시들은 교체해야 되는 건 아니냐, 이런 얘기가 나오는 겁니다.

    ◇ 박재홍> 만약에 이런 시들이 문학상 같은 곳에 투고를 한다면 수상기준으로 봤을 때는 어떤 정도 수준으로 평가하세요?

    ◆ 장은수> 어렵죠. (웃음) 문학성을 논의하기에 힘든 수준의 작품들이 굉장히 많고요. 그러니까 평범한 시민들이 써서 실리는 시도 있지만, 일부 기성시인의 작품에서도 상당한 수준미달 작품 같은 게 많이 있는 거죠.

    ◇ 박재홍> 기성 시인들의 시와, 시민들의 시민공모전을 통해서 시가 실리고 있는데요. 시민들을 위한 공간이잖아요. 그러면 문학성이 조금 떨어져도, 시민들의 시가 실리는것도 의미있는 일은 아니냐? 이런 말을 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사진=서울시 홈페이지 화면 캡쳐)

     

    ◆ 장은수> 네. 물론이죠. 그런데 시민들의 공모전으로 실린 시가, 제가 알기로는 많이 안 되는 걸로 알고 있거든요. 시민들의 시가 실리는 건 문제없죠. 시민들에게도 어떤 즐거운 어떤 경험인데요. 그런데 시민 공모작도 좀 지나치게 많으면 오히려 조금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그런 생각도 듭니다. 왜냐하면 그 공간이 공적인 공간이잖아요. 조금 더 수준이 높고 사람들한테 좀 더 기쁨을 줄 수 있는 시가 많아지면 훨씬 좋지 않겠나, 그런 생각입니다.

    ◇ 박재홍> 그렇다면 어떤 시가 스크린도어에 실려야 한다고 보시는 거죠?

    ◆ 장은수> 고전들이 실려야 되는 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우리나라에 몇천년의 문학사가 있고요. 사람들이 공감하기도 좋고, 사람들한테 기쁨을 줄 수 있는 그런 시들도 많이 있잖아요. 그러니까 황진이 작품도 있고 허난설헌의 작품도 있고 다산 선생님 작품도 있고 김소월, 윤동주의 시, 다 좋은 작품들이잖아요. 그런 작품들로 좀 더 개방돼서, 시민들한테 좀 널리 읽히면 스크린도어 공간이 좀 더 공공성을 가질 수 있지 않을까 그런 생각이 듭니다.

    ◇ 박재홍> 그러니까 오랜 시간 동안 고전으로 사랑 받아왔던 우리의 보편적인 시들이 실리면, 더 좋은 문화공간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말씀인데요. 그러면 지금 지하철 스크린도어에 실리는 시는 어떤 과정을 통해 실리나요? 논란이 나오는 이유가 있습니까?

    ◆ 장은수> 7개의 문학단체에 의뢰를 하고요. 그다음에 시민공모전을 통해서 11명 정도의 심사위원들이 그 작품을 골라서 싣고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제 대부분의 단체들이 활동은 실질적으로 하지 않거나, 한다하더라도 아주 수준 높은 작품을 생산하는 그런 분들이 모여서 만든 단체라고 보기는 어려운 상황이거든요.

    그 단체들의 회원들의 시도 굉장히 많이 올라오고 있는데요. 그중에 일부는 지하철에 실리는 것이 본인 스스로한테 명예가 되잖아요. 그러니까 명예가 되는 걸 이용해서, 문단 내부에서 약간 좀 장사를 한다고 해야 하나요? 그런 일들이 벌어지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고 생각 합니다.

    자기들이 추천한 시를 자기가 올리는 거잖아요. 자기가 자기를 심사하면 문제가 된다고 생각 합니다. 살아있는 사람이 자기 작품을 게재했을 때 생기는 폐단 같은 것들은 항상 나올 수 있는 거거든요. 그러니까, 돌아가신 분들의 시, 그리고 문학적으로 검증된 시들이 좀 더 많이 실려주면 시민 공모작하고 서로 어울려서 좋은 문학적 향유 공간이 되지 않을까 그런 생각입니다.

    ◇ 박재홍> 좀 더 면밀한 기준을 통해서 실어야 된다는 말씀이신 것 같네요.

    ◆ 장은수> 네. 너무 주관적으로 자기 단체 회원 중에서 뽑는다? 이런 건 문제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 박재홍> 그렇군요. 그리고 또 시뿐만 아니라 일각에서는, 고전 소설이나 명작 속에 좋은 문장이나 구절을 실어도 좋을 것 같다는 의견도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장은수> 좋은 의견입니다. 광화문 교보빌딩에 있는 글판은 가끔씩 산문에서 글을 따오기도 합니다. 모든 문학작품에는 시가 들어있거든요. 그런 어떤 아름다운 구절들, 이런 것들이 게재가 되면 어떨까, 만약 시 작품 수가 부족하다면 이 역시 좋은 대안이 되지 않을까 그런 생각이 듭니다.

    ◇ 박재홍> 많은 시민들이 접하는 지하철 스크린도어에 실리는 시인 만큼, 좀 더 면밀한 검토를 해서 많은 분들이 공감할 수 있는 시가 실리면 좋겠습니다. 말씀 여기까지 들을게요. 고맙습니다.

    ◆ 장은수> 네.

    ◇ 박재홍> 문학평론가인 장은수 씨와 말씀 나눠봤습니다.

    [박재홍의 뉴스쇼 프로그램 홈 바로가기]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