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올해부터 해양투기가 금지되는 슬러지를 처리해서 고부가 광촉매를 제조하는 자원순환기술이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됐다.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염색공단 폐수 슬러지로부터 산화티탄을 제조하고 이를 활용해 광촉매 필터 및 선택적 환원 촉매(SCR 촉매)를 제조하는 데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폐수 슬러지의 처리과정(응집→탈수→전처리→소성)에서 기존에 응집제로 주로 쓰이던 철염이나 알미늄염 대신 티탄염을 적용해 순도 95% 이상의 산화티탄을 생산하는 것이다.
2009년부터 총 8억 6천만 원의 연구비를 투입해 환경전문기업 ㈜빛과환경이 개발한 이 기술로 동두천 염색공단의 하루 폐수 슬러지를 실험한 결과 연간 약 800톤의 산화티탄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진은 이렇게 생산한 산화티탄 분말을 재료로 소재 성질이 좋고 성능이 우수한 광촉매 필터와 SCR 촉매를 제조했다.
이 광촉매 필터를 장착한 공기살균장치를 5개 병원에 설치해 병원 내 부유균을 조사한 결과, 살균 성능이 탁월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산화티탄으로 제조한 SCR 촉매 역시 질소산화물 제거율이 95% 이상으로 조사돼 시판 중인 SCR 촉매와 유사한 성능을 보였다.
산화티탄은 연간 12만 톤이 수입돼 왔던 만큼 이번 기술 개발 사업을 통해 제조 원가 절감 및 265억원의 수입 대체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BestNocut_R]
또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등 유럽을 중심으로 도심의 공기질 개선(질소산화물 제거)을 위해 광촉매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해외 수출 전망도 밝다.
이번에 개발된 자원순환기술은 국내 특허를 비롯해 미국과 중국의 특허를 획득했으며, 추가로 일본에 특허를 출원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