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중요땅크(탱크)공장을 현지지도하고 생산실태와 현대화사업 정형(경과), 탱크 핵심기술 연구과제 수행 정형을 파악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4일 보도했다. 탱크공장 방문에는 조춘룡 당 중앙위원회 비서, 김정식 당 중앙군사위원, 김용환 국방과학원 원장 등이 동행했다. 연합뉴스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최근 다목적구축함 최현호 진수식에서 해군력 강화를 강조한 데 이어 이번에는 재래식 무기인 탱크 공장을 방문해 탱크 현대화를 지시하는 등 군사행보를 이어갔다.
김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주객관적 환경이 변화한 오늘날 현대전에서의 땅크의 군사적 기능과 역할, 발전방향에 관한 정확한 정의"를 내리면서 "땅크 현대화의 기본방향과 그를 위한 과업과 방도"를 밝혔다고 북한의 노동신문이 4일 보도했다.
신문에 게재된 사진을 보면 김 위원장은 탱크 위에 올라가 무릎을 꿇고 내부를 살펴보며 관계자들에게 무엇인가를 지시하는 모습을 연출해 눈길을 끌었다.
김 위원장은 "첨단수준의 대규모 땅크, 자행포 생산능력을 조성하고 우리 무력의 장갑무기체계들을 빠른 기간 내에 전반적으로 갱신하는 것은 제2차 장갑무력혁명을 일으킬 데 대한 당 중앙의 원대한 구상과 전략적기도 실현에서 나서는 중요한 과업"이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북한의 신형 탱크에 대해 "땅크 공업부문에서 우리식 땅크의 구조 설계와 화력체계의 계통구성을 갱신"하고 "특히 일체식동력 전달장치의 개발로 땅크의 주행 및 각이한 기동특성들을 제고"했으며 "신형능동방호종합체와 피동방호수단들, 전자전종합체를 보다 혁신적으로 갱신"했다고 평가했다.
김 위원장이 방문한 탱크 공장은 평북 구성 탱크공장으로 추정된다.
김 위원장이 탱크 현대화를 강조한 것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의 경험이 영향을 줬을 가능성도 있다. 핵무기는 현대전에서 현실적으로 사용하기 어렵고 탱크와 미사일, 드론 등의 무기가 전쟁을 좌우하는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