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채상병 수사외압 의혹' 임성근 휴대폰 포렌식 조사 불발

공수처, 임성근 측과 협의해 휴대폰 포렌식 재시도 예정
임성근 "구명로비 의혹, 실체 없어…비밀번호 기억 못 해"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해병대 채 상병 순직 사건에 대한 외압 의혹 수사관련 포렌식 참관을 위해 23일 오전 경기 과천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로 출석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류영주 기자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해병대 채 상병 순직 사건에 대한 외압 의혹 수사관련 포렌식 참관을 위해 23일 오전 경기 과천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로 출석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류영주 기자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23일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사건 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 휴대전화 포렌식 참관을 위해 출석했으나, 조사 과정 녹음을 요구하면서 포렌식 절차가 진행되지 못했다.

이날 임 전 사단장이 "조사 과정 녹음을 허용하지 않을 경우 협조할 수 없다"는 의견을 밝히면서 휴대전화 포렌식이 진행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포렌식에는 자료 선별을 위해 압수 대상자의 참관이 필요하다.

공수처는 포렌식 과정 녹음 허용 여부에 대해 임 전 사단장 측 변호인과 협의를 거쳐 다시 포렌식 작업을 재차 시도한다는 방침이다.

공수처는 해병대 수사단이 임 전 사단장 등을 2023년 7월 채상병 순직 사건의 책임자로 지목해 경찰에 넘기는 과정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과 대통령실·국방부 관계자들이 외압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수사 중이다.

공수처는 지난해 11월 말까지 국방부 관계자 등을 참고인 조사하는 등 채상병 관련 수사를 이어왔으나 12·3 내란사태 이후 비상계엄 관련 수사에 집중하기 위해 잠정 중단했다가 최근 채상병 수사를 재개했다.

공수처는 지난해 임 전 사단장의 휴대전화를 확보했지만 비밀번호를 풀지 못해 경찰에 임 전 사단장 휴대전화를 넘겨 잠금 해제를 요청하는 등 포렌식 절차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날 임 전 사단장은 출석에 앞서 취재진을 만나 자신에 대한 '구명로비 의혹'에 대해 "전혀 실체가 없다"고 주장했다.

다만 휴대전화 비밀번호와 관련해서는 "지금도 기억하지 못하고 있다"며 "저도 알려줄 수 없어 안타까울 뿐"이라고 말했다.

임 전 사단장은 또 "박정훈 대령이 이끈 해병대 수사단의 채 상병 사건 수사 과정에 불법이 있었는지 밝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박 대령을 강요죄로 고소한 사건도 해병대 수사단으로 이첩돼 수사 중"이라며 "박 대령이 저를 조사하기 전 김계환 사령관의 뜻이라며 '작전통제권을 육군에 넘겼기 때문에 책임이 없다'는 주장을 하지 말라고 했고, 이에 따라 (조사 당시) 작전통제권이 없어 책임도 없다는 주장을 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