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2025 콘텐츠 로드맵 발표 …6월 '밀리 스토리' 론칭
구독형 스토리·오프라인 확장 '밀리 플레이스' 확대
900만 독자 품은 밀리의서재, 책 넘어 웹툰까지 확장

밀리의서재 박현진 대표가 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2025 사업 로드맵을 발표하고 있다. 밀리의서재 제공 밀리의서재 박현진 대표가 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2025 사업 로드맵을 발표하고 있다. 밀리의서재 제공 
KT 산하 전자책 구독 플랫폼 밀리의서재가 23일 2025년 사업 로드맵을 발표하며 웹툰·웹소설을 포함한 스토리 콘텐츠 사업과 오프라인 커뮤니티 공간 확장에 본격 나선다고 밝혔다.

밀리의서재는 이날 서울 여의도 글래드 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2025년을 독서 종합 플랫폼으로의 전환점으로 삼겠다"며 구독 기반의 스토리 콘텐츠 '밀리 스토리' 출시 및 오프라인 복합문화공간 '밀리 플레이스' 확대 계획을 공개했다.

밀리의서재는 오는 6월 웹소설, 9월 웹툰 순으로 '밀리 스토리' 콘텐츠를 통합 구독형 모델로 출시한다. 독자들은 별도의 추가 결제 없이 일반 도서, 웹소설, 웹툰, 오디오북까지 한 플랫폼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박현진 대표는 "독서 콘텐츠의 경계는 이미 사라졌다"며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텍스트, 영상, 오디오 등 포맷을 넘나든다. 구독 유연성을 확대해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전지적 독자 시점' 오디오북 제작, '궁노' 웹툰화 등 IP 확장을 통해 원소스 멀티유즈 전략도 강화하고 있다. KT그룹과의 협업을 통해 콘텐츠의 영상화 및 OST 제작 등 2차 콘텐츠 생태계로의 확장도 추진 중이다.

오프라인 사업도 본격화한다. 밀리는 독서 커뮤니티 허브 '밀리 플레이스'를 현재 40곳에서 연내 100곳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해당 공간은 단순한 카페가 아니라, 작가 강연·팬미팅·독서모임 등 사용자 중심의 커뮤니티 활동이 결합된 복합문화공간으로 운영된다. 5월에는 장유진 작가와의 북토크가, 6월에는 글쓰기 강연 프로그램 '밀리로드'가 예정돼 있다.

김태형 신사업본부장은 "책을 고르고, 함께 읽고, 작가를 만나고, 기록하는 모든 과정이 독서"라며 "온라인 사용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맞춤형 커뮤니티를 오프라인에 구현하겠다"고 밝혔다.


밀리의서재 박현진 대표가 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답하고 있다. 김민수 기자 밀리의서재 박현진 대표가 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답하고 있다. 김민수 기자 
밀리는 앞으로 3년간 매년 200억 원 규모의 전략적 투자를 단행해 콘텐츠 수급과 IT 인프라 고도화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2027년까지 현재 매출의 2배인 1500억 원 달성을 목표로 한다.

박 대표는 "현재 900만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스토리 콘텐츠 확장을 통해 연내 신규 유료 구독자 10만 명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며 "KT그룹과의 시너지를 통해 콘텐츠 기획, 제작, 유통까지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겠다"고 설명했다.

특히 "KT ENA, 스튜디오지니 등과 협력해 오리지널 IP의 영상화도 본격화할 것"이라면서 구독형 콘텐츠 플랫폼을 넘어 콘텐츠 산업 전반을 포괄하는 플레이어로 진화하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밀리의서재는 기존 도서 중심 구독 서비스를 넘어 다양한 장르 콘텐츠와 오프라인 공간을 결합해 책을 매개로 한 '취향의 플랫폼'을 지향하겠다는 전략이다. 이같은 전략이 한국형 스토리 콘텐츠 플랫폼 진화의 전환점이  수 있을지 주목된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