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연합뉴스 지난달 금융권 가계대출이 8천억원 증가했다. 은행권 자체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증가세가 다소 확대됐지만 정책모기지 대출이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은행권 주담대는 다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금융위원회의 '2024년 1월 중 가계대출 동향(잠정)'에 따르면 지난달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은 총 8천억원 증가해 전월(+2천억원) 대비 증가폭이 소폭(+6천억원) 확대됐다.
금융당국은 "1월 중 가계대출 증가폭은 전월 대비 소폭 확대되었으나 안정적인 수준"이라면서 "향후에도 가계대출 증가요인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가계부채 양적·질적 개선을 위한 제도개선 과제를 차질없이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 금융권 주담대는 4조1천억원 증가해 전월(+5조원) 대비 증가폭이 줄었다. 은행권 주담대는 증가세가 다소 둔화(5조1천억원→4조9천억원)됐다. 제2금융권은 감소폭이 확대(1조원→8천억원)됐고 기타대출은 3조3천억원 감소했다.
업권별로는 은행권 가계대출은 증가폭이 소폭 확대되었으며,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감소폭이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은 3조4천억원 증가해 전원(+3조1천억원) 대비 증가폭이 소폭 확대됐다. 다만 주담대는 전월 대비 증가세가 다소 둔화(5조1천억원→4조9천억원)됐다. 은행 자체 주담대 증가폭은 확대됐지만 정책모기지는 큰 폭으로 감소한 데 기인했다고 금융당국은 설명했다.
지난해 12월 은행 자체 주담대가 1조4천억원 늘어나고 정책모기지가 2천억원 감소한데 반해, 지난 1월 은행 자체 주담대는 2조4천억원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정책모기지가 1조4천억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원회 제공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총 2조6천억원 감소해 전월(2조9천억원) 대비 감소폭이 축소됐다. 상호금융권(2조5천억원), 보험업권(5천억원)은 감소한 반면, 여전사(+4천억원) 및 저축은행(+1천억원)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