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막말' 김문수, '감싸는' 윤 대통령에 분노한 민주당 "상임위 차원 고발"



국회/정당

    '막말' 김문수, '감싸는' 윤 대통령에 분노한 민주당 "상임위 차원 고발"

    윤창원 기자·연합뉴스윤창원 기자·연합뉴스
    잇단 극우 퇴행적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킨 김문수 경제사회노동위원장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이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차원의 고발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면서 14일 환노위 국정감사가 파행을 겪었다.

    이날 한국수자원공사 등 환노위 국감에서 민주당 진성준 의원은 의사진행 발언을 통해 김 위원장 고발 관련 여야 간사 협의결과를 환노위원장에게 물으며 "결과와 무관하게 김 위원장을 위원회가 고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 12일 환노위 국감에서 "문제인 전 대통령이 신영복 선생을 가장 존경하는 사상가라고 말한다면 김일성주의자"라고 말하는가 하면, "제가 수령님께 충성하나?"라는 윤건영 의원의 질문에 "그런 측면 있다"고 답해 논란을 빚었다.


    당시 국감 진행을 위해 간사 간 협의 결과 김 위원장의 사과를 이끌어 냈지만, 김 위원장은 바로 다음 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문재인은 총살감"이라고 했던 자신의 2019년 발언을 거둘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

    이이 대해 진 의원은 "이건 국회를 두 번 능멸하고 모욕한 것"이라며 "김 위원장에 대해 당초 요구한 바처럼 국회모욕죄로 고발 의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총살감' 발언에 대해서도 김 위원장이 "과도하다고 답변했지만 인터뷰에선 (소신에) 변함이 없다고 했으니 국호에서 위증한 혐의까지 있는 것"이라며 고발 의결을 강하게 요구했다.

    전용기 의원은 "누구나 사상의 자유가 있고 본인의 생각을 말하는 것을 절대 강요할 수 없지만, 김 위원장이 국회에서 보인 보습은 위원회 차원 고발이 없으면 국회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것"이라며 "본인 철학, 사상을 존중하되 국회를 모욕한 지점, 다음날 문제가 된 인터뷰해 위증 의혹까지 다시 쌓은 점을 들어 김 위원장 고발을 위원회 차원에서 진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연합뉴스
    고발 의결까지 요구할 정도로 민주당이 분노하는 이유는 이날 윤석열 대통령이 김 위원장의 발언 논란에도 불구 "다른 거 고려하지 않고 현장을 가장 잘 안다고 판단해서 인선했다"고 말하는 등 일말의 유감이나 우려의 기색 없이 김 위원장을 감쌌기 때문으로 보인다.

    사실상 김 위원장을 재신임한 윤 대통령의 발언에 이수진 의원은 "김 위원장의 국회 모독과 폭언을 그래도 넘어갈 수 없다. 더 가관인 건 윤석열 대통령이 김 위원장이 노동 현장을 잘 알아 인선했다는데, 인사권자로서 잘못을 인정하지 않은 것에 대해 굉장히 놀랐다"고 말했다.

    이어 "김 위원장이 안다는 건 노동 현장이 아니라 극우 태극기 부대와 혐오 선동 현장일 뿐"이라며 "김 위원장을 해임하지 않는 것은 어떻게 보면 그 발언이 윤 대통령의 의중이라 국민이 생각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환경노동위원회의 한국수자원공사·한국환경공단 등에 대한 국정감사. 윤창원 기자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환경노동위원회의 한국수자원공사·한국환경공단 등에 대한 국정감사. 윤창원 기자
    국민의힘은 "김 위원장에게 사상의 자유가 있고 어떤 국회의원도 강요할 수 없다. 본인 신념을 굽히라고 강요할 수 없다(임의자 의원)"며 상임위 차원의 고발에 대해 반대했다.

    김형동 의원은 다수결로라도 고발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는 민주당 진 의원의 주장에 대해 국회 고발을 위원장 의결을 거쳐 하도록 한 국회법 취지를 거론하며 "어떤 부분이 위증인지, 모욕인지, 누구에 대한 것인지, 국회법의 범위인지를 따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당장 이날 국감이 김 위원장과 경사노위에 대한 것이 아닌 만큼 "국감을 먼저하고 그 때가서 해도 늦지 않는다. 어떤 부분이 문제인지 위원들이 분석해야 할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의사진행 발언이 이처럼 늘어지자 민주당 소속 전해철 위원장은 "위원회 차원의 의결을 위해서는 다수결이든, 의견개진이든 의결을 위한 절차를 밟아야 한다"며 "여야 간사에 해결 논의를 해주십사 요청했는데 아무런 논의가 없었던 것은 유감"이라고 과정과 절차에 대한 협의를 여야에 재차 요구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