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지난해 10월 평양 상공에서 전단(삐라)을 뿌리다 추락한 무인기 사건과 관련해 당시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이 담당 영관급 중대장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작전을 지시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30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해당 무인기가 백령도에서 우리 군이 보낸 것이라는 군 내부 제보를 확보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북한은 지난해 10월 11일 저녁 '중대 성명' 발표를 통해 "한국이 평양에 무인기를 침투시키는 엄중한 정치군사적 도발 행위를 감행했다"고 비난했지만, 우리 군은 "사실 여부를 확인해줄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박 의원은 '평양 무인기 작전' 이후에는 군 내부에서 조직적인 은폐 시도도 있었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실에 따르면 방첩사령부와 정보사령부 소속 이모 대령, 송모 중령, 우모 중령 등이 개입한 가운데 무인기 관련 보고서가 왜곡된 형태로 언론과 국회, 군 수뇌부에까지 전달됐다.
이 과정에서 당시 여인형 방첩사령관은 경기도 연천 지역에서 추락한 채 발견된 무인기에 대한 민군합동조사도 보안을 이유로 저지했다는 것이다.
박 의원은 평양 무인기 사건이 공개된 지 닷새 뒤인 지난해 12월 8일 발생한 드론작전사령부 내 창고 화재도 조직적인 은폐 시도의 연장선상에서 의심된다고 덧붙였다.
그는 "2022년 12월 북한 무인기가 우리 영공을 침범했을 당시 윤 대통령이 '몇배의 드론을 북쪽으로 올려보내라'고 지시했다"면서 "당시에는 유치한 대응이라 여겼지만, 지금 와서 보면 계엄을 통해 반대세력을 제거하고 영구집권을 시도하려 했던 계획의 출발점이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같은 당 부승찬 의원도 전날, '평양 무인기'는 우리 군이 보낸 것이 맞으며, 이후 12·3 내란사태 직전인 11월에도 무인기 침투작전을 벌였다는 내부 제보를 입수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