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인간은 '사회성'을 선택한 게 아니라 강요받았다



책/학술

    인간은 '사회성'을 선택한 게 아니라 강요받았다

    신간 <사회성_두뇌 진화의 비밀을 푸는 열쇠>

     

    인간을 인간이게 만든 것은 무엇이었을까? 인간이라는 종으로 진화하기까지 700만 년이란 시간이 흘렀다. 그런데 왜 같은 조상에서 출발한 침팬지는 지금도 침팬지이고 인간은 인간이 되었을까?

    인간을 인간이게 이끈 것은 '사회성'이라는 위대한 발견을 통해서다. 인간이 똑똑하기 때문에 사회성을 발견한 것이 아니라, 생존하기 위해 사회를 만들었고, 그 사회를 유지하기 위해 뇌가 발달한 것이다. 사회를 유지하려고 발달한 뇌를 우리는 <사회적 뇌="">라고 부른다.

    사회적 뇌 가설이 등장한 것은 1970년대다. 우리가 이렇게 큰 뇌를 가진 이유는 복잡한 사회생활을 하기 때문이라는 가설이다. 여기서 사회생활이라는 것은 서로 커뮤니케이션을 하며 사교하는 관계를 말한다.

    1990년대에는 이 이론을 뒷받침하는 자료들이 나오는데, 각 종이 이루는 무리의 크기와 뇌 크기가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특히 영장류는 신피질이 발달하면서 복잡한 사회생활의 압력을 버틸 수 있도록 진화했다.

    이렇게 자료로 뒷받침된 사회적 뇌 가설을 가지고 고대 인류의 생활을 역추적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역추적하여 구석기 시대의 인류도 그들 나름의 사회성을 획득하였음을 확인하고, 인류라는 커다란 비밀을 한 꺼풀씩 벗길 수 있었다.

    인간은 '사회성'을 선택한 게 아니라 강요받았다

    그렇다면 인류는 왜 다른 동물과 다르게 '사회성'을 선택한 것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선택을 하는 게 아니라 강요받았다는 것이 맞다. 나무에서 내려온 인간은 서로 협력하는 체계를 만들지 않으면 생존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살았다. 나무나 숲과 달리 인간종이 살던 너른 평야는 외부의 공격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환경이었다.

    고대의 포식자에게 대응하려면 상호 호혜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서로 협력하라는 선택압력이 점점 인류를 사회적이게 하고, 사회로서 유지하게 하였다. 좀 더 사회적 무리는 생존에 조금 더 유리했고, 좀 더 사회적 무리를 유지하려면 내 의도와 상대방의 의도를 짐작해야 할 만큼의 정신적으로도 발달해야 했다. 이런 사회적 압력을 감당하기 위해 점점 뇌는 커졌고, 그에 따른 부수적 효과로 지금과 같은 인간의 지능을 얻게 된 것이다.

    이 책의 저자들은 인류가 갑자기 진화의 과정으로 건너 뛰는 일은 없다고 주장한다. 구석기 시대에서 갑자기 신석기 시대로 건너뛰지도 않는다. 어느 날 갑자기 누군가가 불을 피우는 방법을 발견한 것도 아니다. 물론 첫 번째로 불을 피우는 법을 개발한 이는 있겠지만 사회적 교류를 통해 기술은 점차 전파되어 보편적 기술이 된다. 구석시 시대의 인류가 정말 '원시적'이었다가 갑자기 세련된 신인류가 나타나 그 자리를 차지한 것이 아니다. 구석기 시대인들은 그 시대에 맞는 사회성을 유지했다. 그런데 우리는 단지 발견된 돌무더기 몇 개만 보고 그들을 판단했었다. 사회적 뇌 가설로 들여다본 장구한 진화의 역사가 이 책 한 권에서 고스란히 펼쳐진다. 이 책은 이렇게 결론을 맺는다.

    "인류를 결속하고, 관계망을 구축하고,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최신 첨단 기술의 화려한 이면에는, 오래된 진화역사가 여전히 살아 숨쉬고 있다."

    사회성이라는 인류 진화의 비밀을 밝히고 나면 앞으로 우리 인류가 어떻게 나아갈 것인가를 추측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