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공청회

 

경남도교육청이 학력 향상을 이유로 지난 2002년 폐지된 고입 연합고사 도입을 사실상 결정한 가운데 2015학년도부터 시행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 적극 추진하고 있다.

반면, 전교조 등 교육단체들은 학력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교육 과정 파행 운영이 불가피하다며 저지에 나서고 있다.

◈ 교육청, "고입 연합고사 2015년부터 시행"

경남교육청은 14일 경남교육연구정보원에서 '경남 고입 전형방법 개선방안 공청회'를 열었다.

공청회에서는 고입 전형방법 개선방안 T/F팀이 평준화, 비평준화 14개 중고등학교 학생과 교사, 학부모 2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내용을 발표했다.

T/F팀은 도내 중.고등학교 교사 및 전문직 19명으로 구성됐다.

설문조사 결과 현재 중학교 내신 성적 100%에 의한 고입 전형 방법에 대해 79.5%가 개선돼야 한다고 답했다.

합리적인 고입 전형 방법에 대해서는 80%가 내신과 연합고사를 병행해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내신만으로 선발해야 한다는 의견은 12.6%에 그쳤다.

고입 전형을 개선할 경우 시행 시기를 묻는 질문에는 현재 초등학교 6학년이 고등학교에 올라가는 2015학년도부터가 55.9%로 가장 많았다.

이 같은 설문조사 결과는 지난 5월 고입 전형 방법 개선을 위한 창원대와 인제대의 연구 용역팀의 설문조사 결과와 동일했다.

경남교육청은 이 같은 설문조사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현재 초등학교 6학년이 고등학교에 올라가는 2015년부터 연합고사를 부활하겠다는 방안을 내놨다.

고입 전형 방법은 내신성적 50%와 연합고사 50%로, 선발과목은 체육과 예술(음악,미술) 과목을 제외한 국어와 영어, 수학, 사회, 과학, 도덕, 기술, 가정 등 7개 과목이다.

경남교육청은 경남의 학력이 타 시도와 비교해 낮고, 내신성적 산출이 끝나는 11월 이후 2개월 동안 수업 진도가 남았는데도 학생들이 학습 의욕을 잃어 교육 과정 운영이 부실화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고입 연합고사 도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대책위 기자회견

 

◈ 대책위, "연합고사 도입 시도 즉각 폐기하라"

반면, 전교조 등 21개 단체로 구성된 고입 연합고사 부활 저지를 위한 경남대책위는 교육청과 정반대의 결과를 내놓고 있다.

대책위는 이날 공청회가 열리는 경남교육연구정보원 입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입 연합고사 부활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결과, 초등학교 6학년 학생과 학부모, 중학교 교사 등 1,61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74.3%가 연합고사 부활에 '적극 또는 대체로 반대한다'고 답했다.

반면, '찬성한다'는 13.6%에 그쳤다.

연합고사 부활이 학교 교육에 미칠 영향을 묻는 질문에서도 63.7%가 매우 또는 대체로 부정적이다라고 답했다.

또, 73.8%는 사교육비가 증가할 것이라고 답했고, 연합고사를 대비한 수업 위주가 되거나 시험이 늘 것이라는 응답자 수도 76.3%에 달했다.

[BestNocut_R]대책위는 "교육청이 그동안 학력 향상이라는 이유로 연합고사 도입을 추진하더니 이제는 학교 교육 정상화를 위해 필요하다는 주장을 내세우고 있다"며 "연합고사와 학력향상과의 연계성을 입증할 실증적인 근거가 없음을 인정하는 셈"이라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교육 과정 정상화를 위해 연합고사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은 자위적인 것"이라며 "오히려 연합고사 도입이 교육 과정을 왜곡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폐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