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1분기 경제성장률 0.2% 역성장…속보치와 동일

건설투자 -3.1%·설비투자 -0.4%·민간소비 -0.1%
1분기 실질 국민총소득 0.1% 증가
지난해 1인당 국민소득 3만6천745달러, 1.5%↑
'2025년 1/4분기 국민소득(잠정)' 통계

연합뉴스연합뉴스
내수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올해 1분기 한국 경제가 0.2% 역성장했다.
 
한국은행은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대비·잠정치)이 -0.2%로 집계됐다고 5일 밝혔다. 지난달 24일 공개된 속보치와 같다.
 
분기 성장률은 지난해 1분기 1.2% 성장한 뒤 2분기에 -0.2%까지 뒷걸음쳤고, 3분기와 4분기 모두 0.1% 성장에 그쳤다가 세 분기만에 다시 역성장을 기록했다.
 
1분기엔 경기 불확실성에 따른 투자 감소 폭이 컸다. 
 
건설투자가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3.1%나 축소됐고, 설비투자는 기계류 중심으로 0.4% 줄었다. 설비투자 성장률은 지난해 1분기(-1.0%) 이후 1년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민간소비도 서비스 소비 부진으로 전 분기보다 0.1% 감소했다. 정부소비는 건강보험 급여비 지출이 줄고, 물건비 지출이 늘어 전 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수출은 화학제품·기계·장비 등의 부진으로 0.6% 줄었고, 수입도 에너지류 중심으로 1.1% 감소했다.
 
1분기 성장률 부문별 기여도를 보면, 건설투자(-0.4%p), 민간소비(-0.1%p) 등 내수가 -0.5%p를 기록해 성장률을 깎아내렸다.
 
순수출(수출-수입)은 수입 감소 폭이 수출 감소 폭보다 더 커 성장률을 0.2%p 끌어올렸다.
 
업종별로는 전기·가스·수도업이 5.2% 성장했고, 농림어업도 어업 호조로 4.4% 늘었다.제조업은 화학물질·화학제품·기계·장비 중심으로 0.6% 감소했고,건설업도 건물건설 부진으로 0.4% 줄었다.서비스업(-0.2%)은 운수업·도소매·숙박음식업이 줄면서 뒷걸음쳤다.
 
1분기 명목 국민총소득(GNI)은 전 분기보다 0.1% 증가했다. 명목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10조4천억원에서 13조9천억원으로 늘어 명목 GDP 성장률(-0.4%)을 웃돌았다.
 
실질 GNI도 0.1% 늘었다. 교역조건 악화로 실질 무역 손실이 확대됐지만, 실질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증가하면서 성장률이 실질 GDP(-0.2%)보다 높았다.
 
이날 함께 발표된 '2024년 국민계정(잠정)'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3만6천745달러로 전년보다 1.5% 증가했다. 
 
앞서 3월 5일 '2024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 공개 당시 1인당 GNI(3만6천624달러)와 성장률(1.2%)보다 다소 커졌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