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관장 이항재)은 우리나라 삼엽충 화석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 성과를 담은 대중 고생물학 서적 '한국의 지질유산: 삼엽충'을 발간했다고 8일 밝혔다.
이 책은 삼엽충의 기초 개념부터 국내 주요 화석 산출 정보까지 폭넓게 다루며, 대중성과 학술성을 동시에 갖춘 국내 최초의 삼엽충 전문서이다.
삼엽충은 고생대 전 기간 동안 번성했던 해양 절지동물로, 생물학적으로 곤충과 동등한 수준의 대형 절지동물 군에 속한다. 전 세계에서 약 2만 2000여 종이 보고됐으며, 대륙 이동과 판구조론을 입증하는 과학적 증거로도 활용돼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약 100년 전부터 삼엽충 연구가 시작됐고, 현재까지 단일 화석 군으로는 가장 다양하고 풍부하게 산출되는 대표 화석으로 꼽힌다.
'한국의 지질유산: 삼엽충'은 삼엽충의 정의, 기원, 형태, 생태, 한반도 지질과 삼엽충 연구의 역사 등 기본 개념을 설명하고, 국내 지질유산으로서의 가치가 높은 삼엽충 40종을 선별해 소개한다.
또 삼엽충 화석 탐사 방법을 안내하며, 연구자와 일반 독자 모두를 위한 입문서로서 역할을 한다. 부록에는 국내에서 공식 보고된 삼엽충 288종의 산출지, 문헌 정보, 화석 사진을 함께 수록했다.
지질박물관 홍발 박사는 "삼엽충이 국내에 처음 보고된 지 100주년을 맞아 발간된 이 책을 통해 지질유산 삼엽충 화석의 소중함과 학술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미래 세대가 우리 지질유산의 가치를 체감하고 계승해 나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질박물관은 과거와 현재의 지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암석, 광물, 화석 등 다양한 지질표본을 수집, 연구, 전시하고 있다. 현재 7600점 이상의 실물 표본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900여 점이 전시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