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한국거래소, 조기대선 국면 '정치 테마주' 투자유의 발동

LIVE

한국거래소 전경. 한국거래소 제공한국거래소 전경. 한국거래소 제공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테마주가 과열 양상을 보여 투자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는 최근 21대 조기대선 일정이 확정돼 정치테마 관련 주가가 과열하자 23일 '투자유의안내'를 발동했다.

거래소는 정치테마주의 이상 급등과 관련한 투자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고 투자자의 주의를 환기하기 위해 이같은 조처를 했다고 설명했다.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 결정 이후, 여야 각 대선후보 등판에 따른 관련 테마주의 주가가 급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지난해 12월부터 지난 18일까지 시장경보 종목 중 투자경고 이상으로 지정된 115종목 중 52%인 60종목이 정치테마주에 해당한다.

특히, 올해 4월(4.1~18) 투자경고 이상으로 지정된 37개 종목 중 78%인 29종목이 정치 테마주다. 또, 지난해 12월부터 18일까지 현저한 시황변동에 따른 조회공시를 의뢰한 62종목 중 56%인 34종목이 정치테마주에 해당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12월 이후 정치테마주의 주가 변동률은 121.81%로 시장 평균(코스피 16.47%, 코스닥 24.12%) 대비 약 6배로 매우 높은 수준이다. 정치테마주로 분류된 기업들은 자산규모와 매출액 규모가 시장 평균보다 작은 중·소형주 위주이며, 영업실적도 시장 평균에 비해 현저히 낮은 종목이 상당수다.

정치테마주의 평균 매출액은 유가증권시장 3317억원(시장 평균 2조 2290억원), 코스닥시장 590억원(시장 평균 1214억원) 수준이다. 정치테마주의 경우 정치인과의 단순한 연결고리(출신학교·친인척·지인·지역 등)만으로 주가가 급등하는 경우가 많고, 이는 기업의 실적이나 본질가치와 무관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정치뉴스나 여론조사 결과 또는 테마소멸 등에 따라 주가가 일시에 급락할 수 있어, 과열된 분위기에 휩쓸린 투자는 큰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거래소는 확인되지 않은 풍문이나 막연한 기대감 등으로 주가와 거래가 급증하는 종목에 대해서는 추종매매를 자제할 것을 당부했다.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는 대선 기간 정치테마주에 대한 모니터링과 시장조치를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불공정거래 행위 포착 시 금융당국과 공조해 강력 대처할 예정이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