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올해 1분기 식품 수입액 3.5% 증가…신선농산물 수입 증가

올해 1분기 식품 수입액 3.5% 증가…신선농산물 수입 증가

핵심요약

밀·옥수수 수입은 감소…"이상기후, 재배면적 감소 영향"
"요거트 아이스크림 인기로 벌집꿀 수입액 250배 이상 늘어"

식품의약품안전처 제공식품의약품안전처 제공
올해 1분기 식품 수입액은 86억6천만 달러어치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23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1분기 수입된 농·임산물, 축산물, 수산물, 가공식품, 건강기능식품, 식품첨가물, 기구 및 용기·포장 등 식품은 약 470만7천t에 이른다. 수입 건수는 2.9% 늘어난 20만3천여 건이다.
 
우리나라가 식품을 수입한 국가는 총 150개국이다. 그중 미국(대두, 밀 등), 중국(김치, 폴리프로필렌 등), 호주(밀, 정제과정이 필요한 식품원료 등)에서 전체 수입량의 58.5%인 275만t을 수입했다.
 
농·임산물 중 식품 제조용 원료로 많이 사용하는 밀(73만 9천톤 → 57만 1천톤, -22.7%)과 옥수수(63만6천톤 → 59만4천톤, -6.7%)는 수입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줄었다.
 
이는 최근 이상기후, 재배면적 감소 등으로 인한 국제 곡물 가격 상승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반면 양파, 양배추, 배추, 감귤 등 신선 농산물의 수입량은 증가했다.
 
식약처는 "이는 국내 생산량 감소 등으로 인한 물가·수급 안정을 목적으로 할당관세를 운영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할당관세는 관세법에 따라 물가나 수급 안정 등을 위해 특정 물품에 대해 일정 기간 관세를 줄여주는 제도다.
 
온라인에서 다양한 조리 레시피가 공유된 요거트 등 제품과 관련된 항목의 수입도 급증했다.
 
특히 지난해부터 다양한 식재료를 얹은 '요거트 아이스크림'이 큰 인기를 얻으면서 벌집꿀 수입액이 1500달러에서 38만5천 달러로 250배 이상 늘었다.
 
아울러 치즈(1억 900만 달러→1억9천만 달러, +71.2%), 전지분유(800만 달러→3200만 달러, +300.0%), 버터(3500만 달러→5700만 달러, +61.6%) 등 유가공품의 수입이 크게 늘었는데 이는 국민 식생활의 서구화로 소비 패턴이 변화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

    제 21대 대통령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