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창원 기자더불어민주당은 6·3 조기 대선을 앞두고 경선 규칙을 논의했지만 결론을 내지 못했다. 기존 선거인단 방식과 여론조사 방식을 두고 고심 중이다.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는 10일 오후 국회에서 7시간가량 회의를 이어갔으나 '경선 룰'과 관련해 결론을 내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춘석 위원장은 회의가 끝나고 기자들과 만나 "다가오는 대선에서 민주당이 승리하기 위해 최선의 경선 룰이 어떤 것인지에 대해 위원들과 논의했다"며 "출마 예정자들의 입장을 최대한 반영하고 당원들의 당원 주권주의를 확립해달라는 의견을 종합적으로 논의했으나 최종 결론에 이르지 못했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2017년부터 대선 본경선에서 권리당원과 대의원, 참여 의사를 밝힌 일반 국민을 선거인단에 포함해 '1인 1표'를 부여하는 '국민경선' 방식을 실시해왔다. 일반 국민 100%로 이뤄져 비이재명계 주자들이 요구하는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에 비교적 가까운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이 '당원 대표성이 적고 역선택 우려가 크다'는 지적에 부딪히며 권리당원 표 반영 비율을 최대 50%까지 확보하는 '국민참여경선' 방식도 함께 논의되고 있다. 국민참여경선은 '권리당원 50% 이하 투표, 일반 국민 50% 이상 여론조사'로 이뤄진다.
이 위원장은 "우리 대선 경선 방식은 국민경선인데 당원들의 요구는 당원 권리를 보장해달라는 국민참여경선"이라며 "둘 다 장단점이 있어 어느 쪽이 절대적으로 맞다고 할 수 없다. 적절한 조화점에 대해 고민이 많다"고 전했다.
아울러 국민경선 방식을 택했을 때 소위 극우세력이 선거인단에 들어와 역선택을 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도 우려가 큰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이 위원장도 회의 중간에 결론이 나지 않는 이유를 두고 "국민경선은 모든 국민이 선거인단에 들어오도록 문호가 개방돼 있는데, 이번 탄핵 정국을 거치며 (국민끼리) 격렬히 다툰 상황에 우리 당을 지지하지 않는 사람들이 선거인단에 들어올 수 있다"며 "이를 제도적으로 막을 수 있는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대선까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아 여론조사 방식의 국민참여경선으로 선회하는 것도 부담이 큰 상황이다.
준비위는 11일 오전 10시 추가 회의를 통해 결론을 낼 예정이다. 경선 규칙 초안은 최고위원회와 당무위원회, 중앙위원회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