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삼성전자, 위기 속에도 지난해 R&D·시설투자 '역대 최대'

삼성전자, 위기 속에도 지난해 R&D·시설투자 '역대 최대'

R&D 35조, 시설투자 53.6조…TV·스마트폰·D램 등 주력 제품 점유율은 하락

연합뉴스연합뉴스
삼성전자가 지난해 실적 부진에도 R&D(연구개발)과 시설 투자 등 미래를 위한 투자를 역대 최대로 집행했다.

스마트폰과 D램 등 주력 제품의 시장 점유율은 하락했다.

삼성전자가 11일 공시한 2024년 사업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연구개발비는 약 35조원으로 전년보다 약 7조원(23.5%) 늘었다.

작년 시설투자비 역시 전년보다 5천억원 늘어난 총 53조6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연구개발비와 시설투자비 모두 지난해 역대 최대 규모를 달성했다.

가전과 모바일 사업을 담당하는 DX(디바이스경험) 부문 가동률은 TV, 모니터 등 영상기기가 전년의 74.9%보다 높은 79.8%,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도 전년의 66.7%보다 높은 72.8%로 나타났다.

부문 가동률은 부문의 생산 설비가 실제 가동되는 비율로 생산 능력 대비 실제 생산량을 의미한다. 가동률이 높아졌다는 것은 해당 부문이 전년보다 더 효율적으로 가동되고 있다는 것이다.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디바이스솔루션) 부문과 SDC(삼성디스플레이) 가동률은 전년과 같은 100%였다.

전장(차량용 전기·전자장비) 부문인 하만의 가동률은 68.2%로 전년의 70.2%보다 소폭 하락했다.

삼성전자 주요 제품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전반적으로 하락했다.

지난해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TV가 28.3%로 전년(30.1%) 대비 낮아졌고, 스마트폰도 19.7%에서 18.3%로 하락했다.

D램 점유율은 42.2%에서 41.5%로 소폭 축소됐다. 스마트폰용 디스플레이 패널은 50.1%에서 41.3%로, 디지털 콕핏은 16.5%에서 12.5%로 점유율이 줄었다.

지난해 삼성전자의 5대 매출처는 애플과 도이치텔레콤, 홍콩 테크트로닉스, 수프림 일렉트로닉스, 버라이즌이었다.

전년과 비교하면 베스트바이와 퀄컴이 빠지고 중국계 반도체 유통기업인 홍콩 테크트로닉스와 대만 반도체 유통기업 수프림 일렉트로닉스가 진입했다.

재고 규모는 전년과 비슷했다. 작년 말 기준 삼성전자의 재고자산 총계는 51조7549억원으로 2023년 말(51조6259억원)보다 약 1290억원(0.2%) 늘었다.

DS 부문 재고는 30조9988억원에서 29조6886억원으로 1조3천억여원(4.2%) 감소했다.

반면 DX 부문 재고는 전년 말보다 5.8% 증가한 19조9127억원, SDC 재고도 1조2010억원으로 4.2% 늘었다. 하만은 2조1063억원으로 13.9% 증가했다.

전체 자산 중 재고자산 비율은 작년 말 기준 10.1%로 전년의 11.3%보다 1.2%포인트 축소됐다.

매출 원가를 재고자산으로 나눈 재고자산 회전율은 2023년 말 3.5회에서 작년 말 3.6회로 소폭 높아졌다.

재고자산 회전율은 기업이 보유한 재고자산 판매 속도를 보여주는 지표인데, 회전율이 높을수록 재고자산이 빠르게 매출로 이어진다는 의미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제 21대 대통령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