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청 제공 경상남도가 본격적인 여름철 우기를 앞두고 재난 발생 대응 체계를 점검하고 있다.
도는 산사태·하천재해·지하공간·건설공사장 등 4대 재해 유형별 대책과 주민 대피 체계 등을 살피고 있다고 24일 밝혔다.
우선 산청·하동 등 대형산불로 인해 집중호우 때 산사태 발생 위험이 클 것으로 보고 주민 보호를 위한 선제 대응에 나선다. 다음 달 2일부터 27일까지를 '주민 대피 체계 고강도 집중 점검 기간'으로 정하고 비상연락망·대피소·대피지원반 구성 등 주민 대피 체계 전반을 확인한다.
대형산불 피해 지역 33곳을 '산사태 특별관리구역'으로 지정하고, 인근 주민 281가구 452명을 산사태 취약지역과 같은 수준의 대피 체계를 적용한다. 산사태 예측 정보를 활용해 단계별로 사전 대피를 진행해 인명피해를 막는다.
하천 재해 예방에도 나선다. 하천점용 허가를 받은 공사장 20곳의 가도를 점검해 9곳을 철거했고, 2곳은 존치하되 안전조치를 했다. 나머지 9곳도 철거를 추진 중이다. 하천 시설물 재해위험지구의 현장 대응력을 높이고자 하천재해 세부 운영 매뉴얼을 정비한다.
지하차도·공동주택·반지하주택 등 지하공간 침수에 대비한다. 도내 지하차도 52곳의 안전 점검을 끝내고 시군·읍면동·자율방재단·경찰 등 담당자를 지정해 기상특보 때 단계별 예찰과 통제를 시행한다.
특히, 최저 지점 수위가 10~15cm에 도달하면 기준에 따라 통제하거나 CCTV 등을 활용해 사전 차단 조치한다.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 물막이판 설치 여부를 점검하고, 미설치 단지에는 수방 자재 비치 등을 진행한다. 관리사무소와 입주민 간 비상상황 전파·대응 체계를 강화한다.
반지하주택 33곳을 대상으로 침수 방지시설과 배수로 정비 상태 등을 점검하고, 거주자와의 비상연락 체계를 운영한다.
건설공사장의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최근 도내 공공 건설현장 1088곳을 대상으로 기초지반, 굴착사면, 배수로, 침사지 등을 점검해 현장에서 244건을 시정하고, 48건에 대해 보수·보강했다. 도, 시군, 현장감리단과의 재난 상황 전달 체계를 구축해 긴급 상황 발생 때 대응이 가능하도록 체계를 정비했다.
경남도 박명균 행정부지사는 "예방 중심의 사전 점검과 대응 역량 강화는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최선의 길"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