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이 오는 28일 미국을 방문해 그동안 양측이 협상을 진행해온 '광물 협정'에 서명할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젤렌스키 대통령이 오는 28일 미국에 온다고 들었다"며 "우리 모두는 광물 협정에 서명하고 싶고, 이것이 매우 큰 거래라는 것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광물 협정이 1조 달러(약 1430조원)에 달할 수 있다"며 "협상이 거의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고도 했다.
AFP 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양국이 현재 큰 틀에서 광물 협정의 조건에 합의한 뒤 세부 사항을 놓고 마무리 작업을 진행중"이라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 "미국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 대가로 우크라이나가 보유하고 있는 '희토류'를 제공하기를 바란다"며 "미국은 유럽 국가들보다 우크라이나 지원에 많은 돈을 썼는데, 정작 아무것도 받지 못했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우크라이나에 대한 미국의 지원이 3500억 달러(약 500조원)에 달했다는 주장도 거듭했다.
젤렌스키 대통령도 이에 대해 처음에는 "정당한 요구"라고 화답했지만, 이후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5천억 달러'(약 716조원) 규모의 광물 자원 제공을 요구하면서 협상은 삐걱거렸다.
우크라이나는 광물 협정에 우크라이나에 대한 미국의 안보 제공을 넣으려고 하지만, 미국은 원론적인 입장을 고수할 뿐 미국의 역할이 명시적으로 담는 것은 달가워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미국은 '평화유지군'에 대해서는 전향적인 자세다.
연합뉴스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는 모든 이가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의 평화유지가 필요하다"며 "유럽이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있고, 우리는 아무 것도 제공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날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평화유지군'에 대해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그것을 받아들일 것"이라면서도 이에 대한 미국의 구체적인 지원 여부를 밝히지는 않았다.
다만 양국은 우크라이나의 광물 자원을 함께 개발해 수익을 공동 기금화한다는 데 대체로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공동 기금이 전후 우크라이나 재건 재원으로 쓰일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도 아주 좋은 희토류를 가지고 있고, 러시아에 묻혀 있는 희토류·석유·가스 등을 사고 싶다"고 말해 종전 후 러시아와의 경제 개발 협력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