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임금체불로 고통받은 근로자의 수가 사상 최대인 30만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체불임금이 발생한 근로자의 수는 29만5천677명으로 전년보다 3천119명(1.1%) 늘었다.
2011년 27만8천여명이었던 임금체불 근로자 수는 2012년 28만4천여명으로 늘었다가 2013년 26만6천여명으로 줄어드는 듯했다. 하지만, 2014년과 지난해 2년 연속 증가세를 나타내 30만명에 육박했다.
임금체불 총액도 2011년 1조874억원에서 지난해에는 1조2천993억원으로 4년 새 19.5%나 늘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의 임금체불 근로자 수와 임금체불액이 각각 7만8천530명과 4천749억원에 달해 가장 많았다.
이어 건설업(6만5천573명·2천487억원), 도소매·음식숙박업(6만140명·1천740억원), 금융보험부동산·사업서비스업(3만1천814명·1천285억원), 운수창고·통신업(1만8천495명·1천77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제조업과 도소매·음식숙박업의 경우 최근 수년 새 가파른 증가세를 보여 큰 우려를 낳고 있다.
'차이나 리스크'와 유가 폭락 등으로 조선, 철강, 기계, 자동차 등이 수년째 침체를 겪는 제조업의 경우 2011년 6만390명이던 임금체불 근로자 수가 지난해 7만8천530명으로 30%나 늘었다.
같은 기간 제조업 임금체불액의 증가율은 더 높았다. 2천972억원에서 4천749억원으로 무려 59.8% 급증했다.
장기 내수침체로 자영업자의 몰락이 현실화하고 있는 도소매·음식숙박업의 상황은 더 심각하다.
2011년 2만4천262명이었던 임금체불 근로자 수는 지난해 6만140명으로 급증했다. 같은 기간 임금체불액도 836억원에서 1천740억원으로 껑충 뛰어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