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입자 유치를 위해 단말기 불법보조금을 지급하는 등 지난 3년간 적발된 이동통신사의 위법행위가 4만5000여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소속 김태환 의원(한나라당)이 19일 공개한 통신위원회 ''2004~2006년 이통통신사 위법행위 적발현황'' 자료에 따르면 SK텔레콤과 KTF, LG텔레콤 등 이통3사 601개 대리점의 위법행위 적발 건수는 모두 4만5423건으로 집계됐다.
통신위원회는 전체 3500개 대리점 가운데 가입자 수가 많은 대리점과 지역적인 분포 등을 고려해 이중 601곳을 조사해왔다.
업체별로는 3위 사업자로 공격적인 마케팅을 해온 LG텔레콤이 1만8474건으로 가장 많았고 SK텔레콤과 KTF는 각각 1만4560건, 1만2389건이었다.
지역별로 대리점이 몰려 있는 서울이 1만8021건으로 가장 많았고 부산 4063건, 경기 4006건, 대구 3179건, 광주 2344건, 대전 2051건, 경북 1960건, 전남 1811건 등이었다. 대리점당 평균 적발 건수는 75.6건이었다.
위법행위 가운데 95% 이상이 불법보조금 지급이었으며 나머지는 부가서비스 부당가입, ''가개통(가입자 수를 부풀리려고 가짜 명의를 만들거나 남의 명의를 빌려 휴대전화를 개통하는 것)'' 등이었다.
김의원은 ''''일반 대리점은 물론 역이나 지하상가 등 임시 판매점의 위법 행위가 더 심각한 만큼 업체들이 자율적으로 매출이 높은 판매점에 대해 현장조사를 실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