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세종시 발전 방안에 포함될 가능성이 제기됐던 삼성SDI의 2차 전지 사업이 당초 계획대로 울산에 투자되는 것으로 최종 정리가 됐다.
울산시는 11일 정부의 세종시 발전 방안 발표와 관련해 "삼성SDI의 자동차용(리튬이온) 2차 전지와 휴대폰용 2차 전지사업이 세종시로 투자 지역을 옮겨 갈 것이라는 설이 제기됐으나 기우에 불과한 것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삼성그룹 역시 세종시 발전방안에 태양광발전과 연료용전지, LED(발광다이오드), 데이터프로세싱, 콜센터, 바이오헬스케어 등 분야에 진출하기로 하고 삼성SDI는 제외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삼성SDI가 자동차용 2차전지 사업 등이 세종시로 투자 지역이 바뀔 것이라는 소문만 무성했을 뿐 확인된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고 재차 확인하며 "삼성그룹의 발표에서 확인된 셈"이라고 밝혔다.[BestNocut_R]
삼성SDI는 합작사인 보쉬사와 SB리모티브를 설립했으며 오는 2013년까지 연료용전지 분야에 5000억 원을 투자해 올해 연말 자동차용 2차전지를 첫 출시할 계획이다.
또 앞으로 추가로 투자하는 휴대폰과 노트북용 소형 2차전지 생산라인을 기존 울산 사업장에서 생산하기로 하는 등 울산 사업장에 모두 14개 라인 1조6000억 원을 투입할 방침이다.
하지만 삼성SDI가 수천억원을 신규 투자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사업은 세종시로 이전될 가능성이 있어 울산시가 추진하는 ''신성장 녹색산업육성''에 차질이 우려된다.
또 한화그룹도 울산에 신축중인 태양전지공장 일부 생산라인을 세종시로 이전할 것으로 예상돼, 울산으로서는 적지않은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