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핵심요약

성도일보 "한중간 밀월기 끝나…李 베이징 오지 않을 것"

연합뉴스연합뉴스
중국이 오는 9월 3일 항일전쟁 승전 80주년을 맞아 베이징 톈안먼광장에서 개최하는 열병식에 이재명 대통령의 참석 의사를 타진했다는 보도가 나온 가운데 홍콩 매체가 이 대통령이 열병식에 참석하지 않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홍콩 성도일보는 지난 1일 '중국관찰' 코너에서 10년 전인 2015년 9월 3일 박근혜 전 대통령이 참석한 항일전쟁 승전 70주년 기념 열병식 개최 당시와 현재는 상황이 많이 달라졌다며 이같이 전했다.

이 매체는 70주년 열병식에는 러시아·베트남·벨라루스·캄보디아·이집트·카자흐스탄·키르기스스탄·남아프리카공화국·베네수엘라·콩고·수단 등 중국의 우방국 정상들이 주로 참석했다며 "이 국가들 중 절대다수는 비(非)서방 진영에 속해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유일하게 열병식에 참석한 미국 동맹국(정상)은 한국 대통령 박근혜였다"면서 "중한 관계가 당시에 좋았고 일한 관계는 나빴는데, 중국과 한국은 역사적으로 일본으로부터 심각한 피해를 봤다"고 배경을 소개했다. 또, "보도에 따르면 박근혜는 당시 미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중국을 방문했다"고 강조했다.

성도일보는 그러면서 "10년 후 중국과 한국은 밀월기와 작별했다"며 "비록 한국이 대통령을 바꿨고 양국 관계에 약간의 개선이 있지만, 이재명 대통령이 9월 3일 베이징에 오지는 않을 것이라 믿는다(생각한다)"고 전망했다.

이 매체는 이어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이번 열병식에 초청했다는 일본 교토통신의 보도에 대해서도 "트럼프가 초청에 응해 톈안먼 열병식에 참석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면서 "중미 관계가 10년 전보다 훨씬 나빠졌다"고 설명했다.

중국 당국은 지난달 24일 기자회견을 열고 항일전쟁 승전 80주년 기념 열병식 개최 계획을 공개했다. 중국 측은 해외 정상들의 초청 계획도 밝혔지만 구체적인 명단은 공개하지 않았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열병식에 참석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