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27일(현지시간) 워싱턴특파원 간담회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특파원단 공동취재단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27일(현지시간) "이재명 정부는 한미 협상에 성실하게 임할 것이며, 협상을 가속할 준비가 됐다는 의지를 미국측에 충분히 설명했다"고 밝혔다.
여 본부장은 이날 미국 워싱턴DC 주미대사관에서 특파원단 간담회를 열고 "새 정부는 한미 협상을 최우선 과제 중 하나로 생각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여한구 본부장은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워싱턴을 찾은 첫 정부 고위인사다. 그는 지난 22일 워싱턴에 도착해 약 일주일간 대미통상외교에 나섰다.
지난 23일에는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를 만났고, 24일~26일 사흘간 열린 3차 한미 협상 기술회의도 측면 지원했다.
여 본부장은 "방미기간 총 30여회 미팅을 하면서 미국 각계각층의 주요 인사들과 아웃리치를 했다"면서 "이를 통해 전방위적으로 새 정부 국정철학과 전략, 또 한미통상협상에서 상호호혜적인 합의를 만들겠다는 선의와 의지를 알렸다"고 말했다.
특히 여 본부장은 "이번 협상은 단순한 관세 협상이 아니라 향후 한미 간 협력 틀을 새롭게 구축할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의 기회이기도 하다"며 "미국의 관세 조치로 양국이 쌓아온 협력 모멘텀이 약화하지 않도록 미측과 치열하게 협의해 당면한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여 본부장은 "이번 방미 기간동안 인공지능(AI), 반도체, 바이오, 전기차, 배터리, 조선, 군수, 원자력 등 다양한 제조 분야에서 한미가 상호호혜적인 파트너십을 구축할 수 있다는 점을 여러 차례 강조했고 미국 측으로부터 굉장히 적극적인 호응을 받았다"고도 했다.
정부는 실용주의 외교에 기반해 국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향후 한미 관세 및 무역 협상에 속도를 내겠다는 방침이다.
여 본부장은 "현재 통상 환경이 매우 불확실하고 엄중한 상황"이라며 "그동안 국내 상황으로 인해 한미 협상이 지체된 측면이 있지만, 지금부터는 실용주의적 국익 극대화의 관점에서 상호호혜적인 합의안을 도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 미측과 협상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우리 정부는 트럼프 행정부가 앞서 예고한 25%의 국가별 상호관세부터 이미 적용 중인 자동차·철강 등 품목 관세는 물론 향후 부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도체·의약품 등에 대한 품목 관세를 철폐하거나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협상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앞서 한미 양국은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기한이 만료되는 다음달 8일까지 이른바 '줄라이 패키지' 합의(7월 일괄 합의)를 도출하기로 합의하고 집중적인 협상을 벌여왔다.
다만 미국측이 성실히 협상에 임하는 주요 무역 상대국에 한해 관세 유예 시한을 연장할 가능성을 시사해 향후 한미간 협상에 변수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