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청 제공 경상남도는 여성·젠더 폭력 피해자를 위한 통합 지원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10일 밝혔다.
기존 개별법 중심의 피해자 보호사업이 디지털 범죄·스토킹·빈곤 등 복합적 폭력 피해 상황과 폭력 가정 미성년 자녀 등에 대한 피해자 보호에 한계가 있다고 보고 이를 보완하고자 통합 지원 체계를 구축한다.
이를 위해 긴급전화 1366경남센터를 거점기관으로 정하고, '여성폭력 피해자 광역 단위 통합지원 사업'과 '젠더폭력 재발방지 통합관리 사업'을 통해 도내 지원 시설과 연계한 지원 체계로 대응을 강화한다.
지난해 정부 공모 사업으로 선정된 여성폭력 피해자 광역 단위 통합지원 사업은 1366경남센터 주관으로 도·경찰·사회보장협의체·법률기관 등으로 협업 체계를 구축해 디지털 범죄 등 복합적 폭력 피해 상황에서도 신속하고 빈틈없는 대응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상담소가 없거나 지원이 원활하지 않는 의령·산청·함양군에는 찾아가는 방문 상담을 진행한다.
이와 함께 도는 전국 최초로 젠더폭력 재발방지 통합관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기존에는 폭력 발생 때 현장에 경찰, 전문상담원이 동행하고, 성인 가해자를 대상으로 상담과 교정 프로그램이 이루어졌지만, 올해부터 지원 대상을 가정 내 미성년 자녀까지 확대해 폭력이 반복되지 않도록 조기에 개입한다.
특히, 가정폭력 환경에서 폭력을 목격하고 학습한 미성년 행위자와 정서적 학대 피해 아동을 대상으로 분노 조절 훈련 등 맞춤형 심리 치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폭력의 대물림을 구조적으로 차단한다.
경남도 박현숙 여성가족과장은 "여성·젠더폭력 피해자 통합 지원 등 현장 밀착형 지원 확대와 함께 긴급 대응뿐 아니라 피해자의 장기적 회복까지 책임질 수 있도록 통합 사례를 관리하고, 전담 인력을 배치해 피해자 상황에 맞춘 맞춤형 통합 지원을 더 촘촘하고 지속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