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지난 2022년 10월 '선감학원 아동 인권침해사건 진실규명 결정 발표 기자회견'에서 선감학원 피해자들에게 사과를 한 뒤 눈물을 훔치고 있다. 황진환 기자경기도는 '선감학원 아동 인권침해 사건' 희생자 유해 발굴에서 133기의 분묘를 추가 확인해, 이 가운데 67기에서 유해를 수습했다고 30일 밝혔다.
그간 도는 지난해 8월부터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 산 37-1 선감학원 공동묘역(2400㎡)에 대한 발굴조사를 이어 왔다. 이후 이날 선감학원 사건 피해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유해는 치아와 대퇴골 등 모두 537점이다. 단추 등 유물·유품 573점도 수습됐다.
선감학원 공동묘역서 수습된 유해·유품. 경기도 제공도는 유해에 대한 인류학적 조사, 유전자 감식, 화장, 봉안 등의 절차를 오는 8월까지 진행할 계획이다.
앞서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가 지난 2022년 9월과 2023년 10월 2차례에 걸쳐 시굴한 35기와 경기도 발굴 133기를 합하면 선감학원 공동묘역의 분묘는 모두 168기가 된다.
진실화해위는 발굴한 유해 275점과 유물·유품 57점을 지난해 6월 경기도에 인도했다.
최현정 경기도 인권담당관은 "선감학원 사건 희생자 유해는 대부분 10대 아동으로 추정된다"며 "남은 절차도 책임 있게 마무리해 국가권력으로부터 억울하게 희생된 분들의 넋을 위로하고 실추된 명예를 온전히 회복시켜 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1970년대 선감학원 원생들의 모습. 선감역사박물관 제공선감학원은 일제강점기인 1942년부터 안산 선감도에 설립·운영된 시설로, 8~18세 아동·청소년들을 강제 입소시켜 노역과 폭행, 학대, 고문 등 인권을 짓밟은 수용소다.
과거 국가가 부랑인 문제 해소와 도시환경 정화 등을 명분으로 신고단속체계를 구축해 아동들의 신병을 확보 후 수용하던 시설이다. 1956년 '부랑아 근절책 확립의 건'에는 '부랑아 조기발견, 수용보호, 본적지 송환, 부랑행위 방지'가 목적으로 명시됐지만, 실제로는 부모와 주거지가 있고 범법행위를 저지르지 않았음에도 복장이 남루하거나 주소를 모른다는 이유 등으로 끌려가는 사례가 잇따랐다.
원생 다수는 구타와 영양실조로 사망했고, 섬에서 탈출을 시도한 834명 중 상당수가 바다에 빠져 목숨을 잃었다.
이 같은 참혹한 인권유린과 학살의 '윗선'이 국가였던 것이다.
당시 관할 기관이었던 경기도는 해당 사안에 대해 2020년 공식 사과했고, 이후 자체적으로 피해자들에게 500만 원의 위로금과 월 20만 원의 생활안정지원금(생계보조수당) 등을 지급하고 있다. 지난 3월 말 기준 선감학원 피해 지원자는 모두 269명에 달한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는 진실화해위의 권고에도 불구하고, 끝내 공식 사과를 하지 않았다. 지난해 12월 당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사과할 예정이라는 소식이 전해지기도 했지만, 12·3 내란 사태로 무산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