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올해 특목고 경쟁률 지난해 수준…"정책 불확실성·학비 부담"

올해 특목고 경쟁률 지난해 수준…"정책 불확실성·학비 부담"

종로학원 제공종로학원 제공
2025학년도 전국 특목·자사고의 평균 경쟁률이 지난해와 같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종로학원이 전국 69개 특목·자사고(자사고 33개, 외고 28개, 국제고 8개)의 2025학년도 지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총 1만7487명 모집에 2만4230명이 지원해 1.39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경쟁률을 공개하지 않은 자사고 2곳(대구 계성고, 부산 해운대고)을 제외하고, 비교가 가능한 67개 학교만 놓고 봐도 경쟁률이 1.39대 1로 지난해와 올해가 동일했다.
 
올해 고1은 2028학년도부터 바뀌는 대입 제도가 적용되는 첫 학년이다.
 
2028학년도 입시부터는 고교 내신이 기존 9등급에서 5등급으로 완화돼 수능의 영향력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자사고나 특목고의 경쟁률이 높아질 것이라는 관측이 빗나간 것이다.
 
올해 전국 31개 자사고 지원자는 지난해에 비해 493명, 8개 국제고는 21명 각각 줄었지만 28개 외고는 409명이 늘었다.
 
올해 전국 최고 경쟁률은 외대부고로 2.68대 1이며, 이어 하나고(2.52대 1), 현대청운고(2.33대 1), 상산고(2.20대 1), 서울국제고(2.15대 1) 등의 순이었다. 
 
반면 서울 강남 지역 자사고인 휘문고와 세화고는 각각 0.67대 1, 0.91대 1로 지난해(각각 1.15대, 1.30대 1)에 비해 크게 하락해 1대 1에도 미치지 못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의대 정원 확대 및 2028학년도 대입제도 개편'의 불확실성에, 경기가 어려운 상황에서 특목·자사고 학비에 대한 경제적 부담감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