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챗GPT '창시자'도 경고한 AI…규제냐, 지원이냐 '딜레마'



IT/과학

    챗GPT '창시자'도 경고한 AI…규제냐, 지원이냐 '딜레마'

    펜타콘 폭발 사진으로 본 AI 부작용
    AI 진화·확산에 덩달아 커지는 우려
    글로벌 빅테크 '규제 필요성' 입 모아
    일각선 빅테크 규제 주장에 저의 의심
    국내 업계 "걸음마 단계, 규제 섣불러"

    지난 22일(현지시간) SNS에서 퍼진 미국 펜타곤 폭발 사진은 ai로 제작됐다. 연합뉴스지난 22일(현지시간) SNS에서 퍼진 미국 펜타곤 폭발 사진은 ai로 제작됐다. 연합뉴스
    인공지능(AI)의 폭발적인 진화와 확산 속에 신기술의 등장을 환영하는 목소리만큼이나 우려도 덩달아 커지고 있다. 챗GPT에 열광하던 전세계가 불과 6개월도 채 안돼 이제는 곳곳에서 규제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있다. AI의 부작용을 통제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점차 형성되는 추세이지만, 규제가 곧 후발주자의 발목을 잡을 거라는 시각도 적지 않다.

    지난 22일(현지시간) SNS에서 퍼진 미국 펜타곤 폭발 사진은 AI의 부작용을 단적으로 보여줬다. AI가 생성한 가짜 사진이었지만, 실제라고 믿은 누리꾼들 탓에 당일 미국 주식시장마저 출렁거렸다. 월요일 아침 장 초반 상승세였던 뉴욕 증시는 10분새 S&P500 지수가 0.3% 하락했고,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도 80포인트 가량 급락했다. 미국 국방부가 폭발 사고를 전면 부인하고, 버지니아주 알링턴 소방서가 가짜뉴스임을 공식 확인하면서 사태는 진정됐다.

    AI를 둘러싼 우려는 최근 들어 본격화하는 모양새다. 여기에는 챗GPT의 창시자인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의 발언도 한몫했다. 그는 지난 16일 AI 규제를 다룬 미국 의회의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오픈AI는 AI가 우리 삶의 거의 모든 측면을 개선할 거란 믿음으로 설립됐지만 동시에 심각한 위험도 존재한다"고 말했다. 이어 "AI가 잘못되면 모든 것이 잘못될 수 있다"며 "강력한 모델인 AI의 위험을 완화하려면 정부 규제와 개입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연합뉴스
    AI 개발에 열정적인 구글도 규제 필요성에 공감을 나타냈다. 구글은 지난 23일 각국 정부를 대상으로 AI 정책 권고안을 발표하면서 "AI 기술의 오용 위험을 줄이고 책임을 장려해야 한다"고 짚었다. AI가 질병부터 기후 변화까지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고 있지만, 책임감을 갖지 않으면 잘못된 정보와 차별·도구의 오용과 같은 사회적 문제를 증폭시킬 수 있다고 내다봤다. 글로벌 보안 강화와 기술 악용 방지의 필요성도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지금의 AI를 과거 원자폭탄에 빗대기도 한다. 신기술이 인류에 가져올 위험을 간과했다가 자칫 비극을 경험할 수 있다는 일종의 경고다. 올트먼 CEO가 "궁극적으로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같은 기구가 필요하다"고 언급한 것도 비슷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원자력의 평화적인 이용을 목적으로 국제사회가 IAEA를 발족했듯이, AI도 각국 정부가 일정 수준의 안전기준을 마련해 공동관리의 영역에 둬야 한다는 제안이다.

    다만 챗GPT와 바드 등으로 일찌감치 글로벌 AI 시장을 선점한 빅테크들이 돌연 규제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나선 저의를 의심하는 시각도 적잖다. 수조원이 넘는 공격적인 투자에 이어 AI 모델을 경쟁적으로 신규 개발한 빅테크들이 후발주자의 성장을 막으려는 의도에서 규제 이슈를 띄운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중국과 패권 경쟁을 벌이고 있는 미국으로서는 AI 분야에 열중하고 있는 중국을 견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도 이같은 분석에 힘을 싣는다.

    연합뉴스연합뉴스
    국내 업계에서는 이제 막 AI 개발의 걸음마를 떼려는 상황에서 규제를 먼저 언급하는 건 섣부르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네이버와 카카오가 AI 언어모델을 개발중인 가운데 구글이 최근 AI 챗봇 바드에 영어가 아닌 언어로는 처음으로 한국어 지원을 채택하면서 이미 국내 IT 기업들 사이에서는 위기감이 커진 상태다.

    지난 17일 국회에서 열린 'AI 기술 개발 및 법제화' 간담회에서도 업계의 이같은 위기감이 고스란히 묻어 나왔다. 하정우 네이버 AI LAB연구소 소장은 "자체 AI 기술을 보유하지 않으면 모든 사용자 데이터가 해외로 빠져나갈 수 있다"며 "AI 기술 개발은 꾸준한 투자가 필요해 파격적인 형태의 국가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진형 KT AI 사업본부 초거대AI 담당은 "글로벌 빅테크들이 막대한 투자와 연구개발로 먼저 AI 시장을 장악한 상황에 법안이 생기면 국내 기업들은 법안에 성장이 가로막히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찬수 SK텔레콤 AI성장기획팀장도 "글로벌 AI 경쟁이 심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나친 규제는 산업 생태계 전반을 위축할 수 있다"며 "어떤 측면에서는 규제가 없는 것이 오히려 규제"라고 강조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