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열린 전국인민대표대회 개막식에서 리커창 총리가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CCTV 캡처중국 정부가 위드코로나 원년인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역대 최저치인 5% 내외로 제시하며 '안정 속에 발전'을 추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리커창 총리는 5일 열린 전국인민대표회의 개막식에서 정부 업무보고를 통해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5% 내외로 설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중국 정부가 지난 1994년부터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발표한 이래 가장 낮은 수치다. 이에 대해 리 총리는 "올해는 경제 안정을 우선시하며 발전을 추구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며 그 배경을 설명했다.
위드코로나 전환과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으로 인해 올해 중국 경제가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에도 중국 정부가 다소 보수적으로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잡은 이유는 지난해 낮은 성장률을 기록한 것에 대한 학습 효과로 보인다.
시진핑 국가주석이 리커창 총리의 업무보고를 듣고 있다. 중국 CCTV 캡처중국 정부는 지난해 초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5.5% 내외로 설정했지만, 강력한 봉쇄정책으로 인해 경제활동이 둔화돼 실제로는 3% 성장률을 기록하는데 그치며 체면을 구겼다. 이는 코로나19가 처음 발생한 지난 2020년(2.3%)과 함께 문화대혁명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여기다 경기활성화에 대한 중국 정부의 강력한 의지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와 미국이 주도하는 서방세력의 대중국 견제 등 대외 경제여건의 불확실성이 크다는 점이 낮은 목표치 설정의 배경으로 분석된다.
중국 정부는 이와함께 올해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 목표치를 3% 내외로 잡았다. 지난 10년간 중국이 CPI 상승률이 평균 2%를 기록했다는 점에서 올해는 목표치를 다소 높게 잡은 것은 중국 정부가 위드코로나 이후 소비 중심의 경기활성화 정책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 중국 정부는 화석 연료 소비를 줄이는데 우선 순위를 두고 GDP 단위당 에너지 소비량과 주요 오염물질 배출량을 지속적으로 감축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