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청 전경. 전북도 제공전라북도가 시청자미디어센터 설립을 위한 사업 부지 확보에 나선다.
18일 전라북도에 따르면 시청자미디어센터 사업 부지를 담은 공유재산관리계획안을 오는 24일까지 전북도의회에 상정할 계획이다.
공유재산관리계획안은 오는 9월 제384회 임시회에서 다뤄진다.
지난해 센터 설립을 위한 국비까지 확보해 놓고도 부지 확보에 실패하며 답보 상태에 놓였던 사업이 탄력을 받게 될지 관심이 모인다.
시청자미디어센터는 방송통신위원회 산하 시청자미디어재단에서 운영하는 국가기관이다.
전북 시청자미디어센터는 총사업비가 195억 원으로 이 중 국비 50억 원, 나머지는 도비로 추진된다. 운영비는 방송통신위원회와 전라북도가 분담한다.
전북센터는 전주시 덕진구 법조타운 인근의 첨단산업용지(만성동 1341-1)에 전체 면적 3498㎡, 연면적 4천㎡(지상 4층/지하 1층) 규모로 추진된다.
앞서 지난해 6월 전북도의 시청자미디어센터 사업 계획이 방통위 심사를 통과하며 센터 유치를 확정했다.
하지만 같은 해 12월 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의 공유재산 심의 과정에서 전주 혁신·만성지구에 공공시설 쏠림현상에 대한 우려로 부결되면서 사업 부지 등 관련 예산을 편성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당초 2024년 개관을 목표로 추진했던 사업에 제동이 걸렸다.
이에 따라 전북도는 시·군 수요조사를 통해 원점에서 센터 부지를 물색했다. 하지만 행정절차 소요나 기존 부지의 적합성 등을 고려해 전주 만성동에 센터 설립을 재추진하기로 했다.
전북센터 설립 예정지는 인근에 전라북도 콘텐츠융합진흥원을 비롯해 TV와 라디오 지상파 방송국, 교육기관이 자리 잡았다.
또한 익산 및 군산지역과도 접근성이 뛰어나 미디어교육과 시청자 참여의 최적의 장소로 꼽힌다.
시청자미디어센터에선 방송프로그램 기획, 제작 등 장비 및 스튜디오 체험이 진행된다.
또한 장애인·고령자·다문화가정·농어민 등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한 미디어교육 및 창작프로그램이 운영될 예정이다.
도민에게 방송 장비 및 시설이 무상 대여되고, 스튜디오 등 시설물 대관도 이뤄진다.
한편 방통위는 현재 서울, 부산, 광주, 강원, 대전, 인천, 울산, 경기, 충북, 세종 등 전국 10곳에서 시청자미디어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또 경남(2022년 말)과 전남(2023년) 센터가 개관을 앞두고 있다.
대구시와 경북도 또한 센터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전북도 관계자는 "도내 모든 시군에 센터 설립 의향을 물었지만 나서는 곳이 없었다"면서 "기존 부지로 재추진할 수 밖에 없는 이유와 센터 운영의 당위성을 도의회에 적극적으로 설명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