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안철수는 왜 엄동설한 두려움을 안고 광야로 가야했나



국회/정당

    안철수는 왜 엄동설한 두려움을 안고 광야로 가야했나

    대선때부터 쌓인 불신이 원인 분석도

    안철수 전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13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탈당을 선언한 뒤 기자들에 둘러싸인 채 국회의사당을 나서 승용차에 오르고 있다. (사진=윤성호 기자)

     

    안철수 전 새정치연합 공동대표가 13일 결국 탈당의 길을 선택하면서 그 배경을 두고 여러 분석들이 나오고 있다.

    안 전 대표는 일단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가진 기자회견문의 제목을 '다시, 두려움을 안고 광야에 서서'로 잡았다. 그로서도 ‘두려움을 안고 광야로 나서게 된’이라며 탈당을 감행하는 불편한 심정을 실토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기자회견문에서 “이대로 가면 다 죽는다고, 비상한 각오와 담대한 결단이 필요하다고 거듭거듭 간절하게 호소했지만, 답은 없었다“면서 ”이대로 가면, 총선은 물론 정권교체의 희망은 없다. 저의 부족함과 책임을 통감한다“고 말했다.

    그는 회견이 끝난뒤 취재진과 만나서도 “위기 타개를 위해서는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고 오랫동안 고민한 끝에 혁신전대로 결론 내렸다고 말씀드렸다”면서 “모든 가능성을 다 열어 놓고 당을 살리겠다는 의지의 천명을 (문재인 대표에게)부탁했지만 실패했다”고 말했다.

    자신이 탈당을 선택할 수 밖에 없는 직접적인 이유는 자신이 제안한 ‘혁신전대’를 문재인 대표가 수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책임을 넘긴 것이다.

    실제로 안 전 대표측은 문 대표측과의 이날 새벽까지 이어진 조율과정에서 “혁신전대를 문 대표가 받는 것이 핵심”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새정치연합의 한 수도권 출신 의원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짜 속사정은 여기 남아 있어봐야 실익이 없다는 판단을 (안 전 대표가) 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어차피 총선뿐 아니라 향후 대선에서도 문재인 대표와 부딪힐텐데 이런 상황에서 비전이 보이지도 않고 경쟁에 따른 피로감도 작용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혁신전대는 표면적인 이유이며 내면에는 현실정치속에서의 한계를 안 전 대표가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라는 설명이기도 하다.

    이와관련해 조진만 덕성여대 정외과 교수는 “안철수 의원의 경우 이제 정치적 승부를 걸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면서 “목표가 대권과 정권교체인 안 의원으로서 차기 대권 주자군에게 이용만 당하기 보다는 나가서 세력을 규합하고 후일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라고 탈당배경을 분석했다.

    용인대 최창렬 교수는 “이제 철저한 현실정치인이 된 안철수 전 대표가 이 구도에서는 대선후보가 되기 어렵다는 판단에 따라 혁신전대를 명분으로 탈당의 길을 걸은 것으로 보인다”면서 “허허벌판에 다시 섬으로써 새정치에 대한 희망을 찾아보려고 했을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현실적인 분석외에 지난 2012년 대선때부터 쌓여온 문재인 대표와 안철수 전 대표 사이의 불신이 큰 원인이라는 분석도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