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역사교과서가 주체사상을 가르치고 있다"…사실은?

LIVE

"역사교과서가 주체사상을 가르치고 있다"…사실은?

주체사상·6.25 관련 내용 사실과 달라…DJ때 '건국 50주년행사'도 틀린 내용

 

정부와 여당이 중·고등학교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추진하면서 그 근거로 제시한 현행 교과서에 대한 문제제기가 상당부분 왜곡되거나 과장돼 또 다른 논란을 빚고 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수차례 "김일성 주체사상을 가르치고 있다"고 주장한 금성출판사 역사교과서는 주체사상에 대해 "김일성주의로 천명되면서 반대파를 숙청하는 구실 및 북한 주민을 통제하고 동원하는 수단으로 이용됐다"고 기술하고 있다.

주체사상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지 않았음에도 마치 주체사상을 긍정적으로 학생들에게 교육하고 있다는 취지로 사실과 다르게 발언한 것이다.

새누리당은 '김일성 주체사상을 우리 아이들이 배우고 있습니다'라는 현수막을 국회 본청 앞 등에 게시하는 등 선전전에 나섰다.

김재춘 교육부 차관이 "6.25 발발 책임이 어느 쪽에 있느냐에 대해 일부 교과서에는 애매하게 남북 양쪽이라고 기술돼 있다"고 지목한 교과서(미래엔)에도 "1950년 6월 25일 새벽, 북한은 전면적으로 남침을 해왔다"고 기술하고 있다.

이 역시 사실과 다른 부분이다.

 

황교안 국무총리가 "6.25 당시 국군에 의한 양민학살 사례를 상세하게 소개하고 북한의 학살은 소개하고 있지 않다"고 한 부분도 잘못된 내용이다.

미래엔 교과서는 처음부터 "전쟁 중 북한군은 물론 국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이 발생하였다"고 했다.

이 부분은 '민간인 학살에 대해 정부가 배상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내용이어서 국군에 의해 이뤄진 1951년 경남 거창 학살 사건을 기술했다.

하지만 교육부 수정권고에 따라 북한군의 함남 함흥과 전남 영광 등지의 학살사건과, 미국에 의한 노근리 학살 사건, 국군에 의한 거창 양민 학살사건을 나열했다.

적어도 황 총리 주장처럼 일방적으로 국군의 행위에 대해서만 적고 있지는 않다.

새누리당 강은희 의원이 "금성출판사, 리베르스쿨, 지학사, 천재교육은 6.25전쟁 당시 북한군의 민간인 학살에 대해 명시적으로 서술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지만, 이들 책은 북한군이건 국군이건 민간인 학살 자체를 다루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교육부도 문제 삼지 않았다.

강 의원은 이를 마치 북한군만의 학살에 대해 생략한 것처럼 호도한 것이다.

아울러 강 의원이 라디오 방송에 나와 논란이 되는 '정부수립일' 표현과 관련해 밝힌 부분도 사실과 거리가 멀다.

그는 "김대중 정부에서도 1998년 8월 15일 '건국 50주년' 기념행사를 대대적으로 했다"며 "김대중 정부에서 건국 50년을 했기 때문에 그 다음 2008년이면 건국 60년, 2018년이 되면 건국 70년이 되어야하지 않겠는가"라고 주장했다.

19

8

전체 댓글 7

새로고침
  • NAVER신길동산적2022-01-22 23:34:11신고

    추천1비추천0

    인생막장을 사는 놈이네~~~~~!!!
    대답이 궁색하면 거짓말에 우기기네~~~!!
    ㅆㅃ~~~~욕나온다~~~!!

  • NAVER112022-01-22 05:18:36신고

    추천4비추천0

    법치를 짓밟고 대한민국 검사들 ~이게 법치 국가냐? 법앞에 불평한 나라가 법치 국가야? 증거가 나와도 무혐의ㆍ 불기소로 끝내는 검찰 ~법으로 한탕 해먹는 수법이 놀랍다. 이런 대통후보가 있었나? 본인뿐 아니라 마누라장모 처남 처형까지 ~~대장동 김만배 누나가 아버지집까지 사줬으니 나참 기가 차서~~썩렬이도 50억 클럽에 등재는 안됐으나 받기로한거 아니겠나? 현직이니 50억이 아니라 훨씬 더되겠단 의심이 드네~~어딘가 비밀 약정ㆍ비밀 장부 있는지 모를일이다

  • NAVER소사자2022-01-21 16:33:01신고

    추천24비추천0

    우리나리는정상적인 나라가아니다 윤석열김건희 불법을판이치게 하는데도 증거가나와도 언론 검찰 누구하나 건드리지않는다 심지어 민주당의언조차도 눈으로 사기치는것을 보면서 방괂ㄱᆞㄴ다 그러나 정의는 이길것이다 분명히 심판해야한다 언론 검참

더보기 +


제 21대 대통령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