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
박준영 전남지사의 ''호남주민 충동적투표'' 발언 파장이 시간이 지나면서 수그러들기 보다는 반발과 부작용이 갈수록 확산되고 있다.
전남도의회가 공식적으로 사과를 요구하고 있고, 진보연대와 민주노총, 광주시민사회단체 등 광주전남지역 정당과 시민사회단체들이 한 목소리로 박 지사의 사과를 촉구하고 있다.
그러나 박준영 지사는 요지부동이다. 사과할 일이 아니다는 것이다.
"호남을 배척하고 호남인 스스로 정치를 잘못했다고 평가한 세력에게 몰표를 준것은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고, 2번의 대선에서 패배한 민주당이 변화해야 한다는 것을 지적한 것이지 호남인을 폄하한 것이 아니다"고 주장하고 있다
박 지사가 이처럼 고집스럽게 버티면서 10일째 각종 반발과 부작용이 꼬리를 물고 있다.
의회에서 물투척 사태가 있었고 도지사가 강연하러 간 전남대 병원앞에서는 진보연대와 민노총이 피켓시위를 벌였다. 광주시민단체들도 도청 앞에서 지사의 사과를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도지사의 버티기는 도청 공무원들에게는 고통과 스트레스로 돌아오고, 도정은 차질을 빚고 있다.
전남도의회에서 각 상임위 별로 업무보고를 하고 있는 도청 공무원들은 하루하루가 살얼음판이다.
특히 2월 19일부터 예정된 도정보고회가 시작되면 현장에서 각종 시위나 박 지사에 대한 공격까지도 우려돼 도정보고회가 제대로 이뤄질 수 있을 지나 의문이다.
결코 용납되서는 안될 폭력과 난동, 절차파괴 등의 비행들이 도지사의 발언을 핑계로 자행될 경우 오히려 옹호되거나 양비론으로 오도될 가능성이 높아 도정수행에 큰 걸림돌이 될 수밖에 없을 전망이다.
박 지사가 사적, 감정적 차원에서 어떤 시각을 갖고 있는지는 차치하고 전남도정의 원할한 수행을 위해 공적, 이성적 차원에서 접근 해야 할 때이다.
도지사는 자신의 정치적 신념과 의지를 도민들에게 설득시키고 계몽하는 자리가 아니기 때문이다.
사과를 요구하는 측은 박 지사의 이런 소신과 의견에 대해 문제 삼는 것이 아니다.
진정성의 의미를 떠나 ''충동적 선택''이었다는 표현이 호남인들에게 상처가 됐기 때문에 사과해야 한다는 것이다.
음악과 미술 등 예술분야의 해석이 창작자의 몫이 아닌 감상자의 몫이듯이 ''말은 한 사람의 몫이 아니라 듣는 사람의 몫이다.'' 들은 사람이 그렇게 해석했다면 그렇게 해석할 발언에 문제가 있는 것이고 진의 여부를 떠나 사과하는 것이 옳다.
박지사의 사과가 없는 한 박지사의 남은 임기 1년 반 동안 전남도정은 지사의 발언이 거대한 벽이 될 것이고 현장의 공무원들이 받을 고통과 스트레스는 말로 할 수 없을 것이다.
3선의 박준영 지사가 유종의 미를 거두고 싶다면 한발짝 물러날 줄도 알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