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집 나간 말 새끼 배왔다…9,500원이 4,500만원으로

한국예탁결제원, 미수령 주식 458억원 어치 찾아줘

새옹지마(塞翁之馬). 중국 국경 변방에 한 늙은이가 살고 있었다. 그런데 어느날 그의 유일한 재산이다시피 한 말이 집을 나갔다. 그러다 다시 얼마 뒤 집을 나갔던 말이 새끼를 배왔다. 말이 두마리가 된 것. 하지만 얼마 후 그의 아들이 말을 타다 다리를 부러뜨렸다. 돌아온 말 때문에 아들이 불구자가 된 것이다. 그런데 또 얼마후 나라에서 전쟁에 동원될 젊은이들에 대한 징집 명령을 내렸고 그 아들은 다리가 부러진 덕택에 징집을 면하게 됐다. 당시 전쟁터에 나갔다가는 거의 죽는 상황에서 아들은 다리를 부러뜨린 덕에 목숨을 건진 것이다.

반드시 이 같은 경우는 아니겠지만 주식 시장에서도 비슷한 경우가 화제가 되고 있다. 잃어버린 주식이 ''금덩이''가 돼 돌아온 것이다.

극장을 운영하는 K씨(60대.서울 송파구)는 35년 전 태평양 주식 19주를 샀다. 당시 매입가는 주당 500원씩 9500원. K씨는 주식 매입 후 이런 저런 세상살이로 자신이 산 주식을 까맣게 잊고 살았다. 그런데 최근 주식을 보관.관리하는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안내문을 받았다. 자신의 주식 19주가 매년 무상증자와 회사분할로 35주(아모레퍼시픽 22주, 아모레퍼시픽그룹 13주) 늘어나 54주가 됐으니 찾아가라는 내용이었다. 잊고 살았던 그의 주식 가격은 4500만원에 달했다. 35년 만에 9500원이 4500만 원이 돼 돌아온 것이다. 마치 변방 늙은이의 새끼를 배 돌아온 말처럼.[BestNocut_R]

이와 함께 남편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주식을 갖고 있는 사실조차 모르고 있다 뒤늦게 주식을 되찾은 주부도 있다. H씨(경기 구리시.60대)는 남편이 10년 전 자신의 이름으로 강원랜드 공모주를 산 사실을 모르고 있다 예탁원의 ''주식을 찾아가라''는 안내문을 받고 주식을 되찾았다. 되찾은 주식은 시가 530만원.

한국예탁결제원은 지난달 말부터 ''미수령 주식 찾아주기 캠페인''을 시작해 2주간 1780여명에게 458억원 어치의 주식을 찾아줬다고 밝혔다.

캠페인이 계속되면서 앞으로도 K씨나 H씨 같은 경우가 또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자신도 기억하지 못하는 미수령 주식을 보유 여부를 확인하려면 공인인증서를 이용해 예탁원 홈페이지(www.ksd.or.kr) ''주식찾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