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병원들, 대형 재난 대비 ''비축물품'' "이틀 못 넘긴다"

뉴스듣기


사회 일반

    병원들, 대형 재난 대비 ''비축물품'' "이틀 못 넘긴다"

    뉴스듣기

    [재난 응급의료시스템 긴급 점검②] 재난 현장 의료진 파견 세부 대책 미비

    아이티 지진 참사 이후 최근 한반도 곳곳에서도 지진이 감지되면서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재난 예비병상'' 등 응급의료시설과 병원비축 물품이 턱없이 부족하고, 의료진 교육과 훈련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등 대형 재난 의료시스템이 총체적으로 부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CBS는 우리나라 재난 응급의료시스템의 실태와 문제점을 집중 조명하고 대책을 제시하는 기획시리즈를 마련했다. 23일은 첫번째로 응급의료센터로 지정되고도 ''재난 예비병상''을 하나도 갖추지 않고 있는 병원들의 실태를 보도한다. [편집자 주]

    연재 순서
    1.병원에 환자수용할 ''재난 예비병상''이 없다
    2.''병원 비축 필수 물품''도 크게 부족 "이틀을 못 넘긴다"
    3.재난의료지원 합동훈련 ''형식적''
    4.''재난의료'' 전담 부처 필요


    adf

     

    중형급 규모의 서울 성북구 C병원.

    지진 등 대형 재난에 따른 고립에 대비해 최소 3일간의 기본재난물품 비축이 필요하지만 실제 비축량은 크게 부족하다.

    이 병원의 경우 식량과 식수, 드레싱세트, 봉합세트, 수액 등 비상물품 비축량이 하루를 겨우 넘길 수 있는 양이다.

    응급의료센터로 지정된 서울 서대문구 D병원 역시 재난 발생에 대비한 비상물품은 이틀을 채 넘길 수 없는 양이다.

    2008년 울산의대 임경수 교수가 발표한 ''국내응급의료센터들의 기본재난물품준비현황''에 따르면 국내 71개 응급의료센터 중 재난사고에 의한 고립에 대비해 3일간의 비상물품들을 보유하고 있는 곳의 비율은 식량 7.0%, 식수 12.7%, 드레싱세트 21.1%,봉합세트 21.1% 수액 23.9%에 불과했다.

    재난시 필수 물품인 모포(16.9%), 이동형 대비소(11.3%), 휴대용산소통(4.2%), 손전등(4.2%) 등도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또 비상발전기를 갖춘 응급의료센터는 전체 71곳 중 66곳(93.0%)에 달했으나 병원건물과 분리되 있는 경우는 7곳(9.9%)에 불과해 지진 등으로 병원건물이 파괴될 경우 대부분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대한재난의학회 신상도(서울대 의대 교수) 박사는 "재난 발생시 재난 현장은 물론 병원들에도 많은 종류의 약품과 비상물품이 필요하다.(병원마다) 비상의료물품이 크게 부족한 것은 이를 강제할 만한 법규정이 없기 때문으로 현재까지 이런 실정은 크게 변화가 없다"고 말했다.

    신 박사는 "다행히 올해부터 응급의료기금이 대폭 확대돼 물품과 시설 등을 보강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지만 이를 시행할 세부 기준은 아직 없는 상태"라고 지적했다.

    지진 등 대형 재난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혼란은 불을 보듯 뻔한 상황이라는 것이다.

    재난대비 병원비축 비상물품 뿐 아니라 현장 의료인력 공급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난 발생시 효율적 환자 관리를 위해서는 현장에서 일할 수 있는 의료진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의료진 현장 파견이 필수적이지만 이를 위한 법적 장치도 미비한 실정이다.[BestNocut_R]

    실제 국가 재난 응급의료지원 지침 개정(안)(2010년 1월,보건복지가족부 중앙응급의료센터)에는 현장 응급의료지원단 구성.운영에 관한 내용이 담겨 있지만 의료진 현장 파견에 관련한 세부 대책은 마련돼 있지 않다.

    한림대 응급의학과 왕순주 교수는 "재난 발생시 현장에 어느 의사를 파견할지 정해져 있지 않으며, 의료진 파견에 대한 보상기준도 제안수준에 불과해 병원들이 의사들을 현장에 적극적으로 보내지 않을 가능성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

    재난대비 병원비축 기본물품 부족과 현장 의료인력 공급 등의 대책 미비는 지진 등 국가 재난사태 발생시 대규모 인명피해로 이어진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