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尹, 시그널로 체포 저지 상황 보고받고 '총기 휴대' 지시도"

尹, 보안수준 높은 메신저로 경호처 지휘부와 소통
김용현 압수수색 때 경찰 들어오자 경호처에 격노
경호처, 1차 집행 앞두고 차벽 설치 계획 등 세워
尹, 2차 집행 전 "총 갖고 있는 거 보여주라" 지시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윤석열 대통령의 체포영장 집행에 나선 지난 1월 3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경내에서 대통령 경호처 인원들이 철문 앞을 차량으로 막고 있다. 연합뉴스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윤석열 대통령의 체포영장 집행에 나선 지난 1월 3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경내에서 대통령 경호처 인원들이 철문 앞을 차량으로 막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전 대통령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1차 체포영장 집행 과정에서 대통령경호처 지휘부로부터 집행 저지 상황을 보안 메신저인 '시그널'로 보고받은 사실이 구속영장 청구서에 담겼다. 2차 체포영장 집행을 앞뒀을 땐 경호처에 총기 휴대까지 지시하는 등 윤 전 대통령이 체포영장 집행 저지에 적극적으로 관여한 것으로 드러났다.

7일 법조계에 따르면 조은석 특별검사팀은 윤 전 대통령 구속영장 청구서에 공수처의 체포영장 집행 방해 관련 전후 상황을 기술했다. 윤 전 대통령이 대통령 관저 등이 있는 공관촌에 수사기관의 출입을 막으라고 경호처에 지시한 것은 지난해 12월 8일부터다.

당시 경찰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공관을 압수수색하려 하자 윤 전 대통령은 비화폰으로 김성훈 전 경호처 차장에게 "국방부 장관 공관이 대통령 관저와 함께 묶여 있는 군사보호구역 아니냐"라며 "이런 곳은 수사관들이 못 들어오는 것 알고 있지 않느냐"라고 말했다.

그런데 박종준 전 경호처장이 압수수색에 협조했고 경찰관 1명이 공관촌으로 들어오자 윤 전 대통령은 김 전 차장에게 화를 내며 "그걸 왜 들어가라고 해? 들여보내지 말라니까"라고 한 것으로 조사됐다.

윤 전 대통령은 공수처가 1차 체포영장을 집행하기 전인 지난 1월 3일까지 경호처 지휘부에 여러 차례 "내란죄 수사권이 없는 공수처의 체포영장은 불법이다" "서울서부지법의 영장 발부는 관할권 위반이다"라며 집행 저지를 당부했다는 게 특검 설명이다.

이에 따라 박 전 처장과 김 전 차장은 경호처 간부 회의를 매일 소집했고, 1정문에서 관저까지 향하는 길목을 세 등분해 차벽을 세우는 문건까지 만든 것으로 드러났다. 특검은 이들이 "체포영장 집행을 막을 수 없고 이는 공무집행방해에 해당할 수 있다"는 위기관리TF의 보고를 받고도 집행 저지에 나선 것으로 판단했다.

경호처 지휘부는 1차 체포영장 집행 전날 군·경에 인원과 차량 지원을 요청했으며, 김 전 차장과 이광우 전 경호본부장은 "미친X들 오면 때려잡자"라고 말한 것으로 조사됐다.

황진환 기자황진환 기자
1차 체포영장 집행 당일인 지난 1월 3일 공수처 검사와 수사관, 파견 경찰 등이 1정문을 통과하자 윤 전 대통령은 시그널로 박 전 처장에게 전화해 "철문이 왜 그렇게 쉽게 개방이 되냐"고 물었다. 김 전 차장도 시그널로 윤 전 대통령에게 상황을 공유하면서 집행 인원이 1차 저지선을 넘지 못하도록 인력을 동원했다.

집행 인원이 1·2차 저지선을 통과하자 김 전 차장은 공수처 검사에게 "공수처가 무슨 권한으로 여기 들어왔나. 경찰들 다 위법한 것"이라고 소리쳤다. 윤 전 대통령은 시그널 등으로 박 전 처장에게 연락해 "공수처 사람들이 관저 안으로 들어온 게 맞느냐"고 묻기도 했다.

결국 공수처가 영장 집행 중단을 선언했고, 윤 전 대통령은 집행 인원이 해산했다는 사실을 시그널로 보고받았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이 경호처 지휘부와 공모해 공무원에게 유형력을 행사해 직무집행을 방해했다"며 "경호처 지휘부로 하여금 윤 전 대통령을 도피하도록 교사했다"고 설명했다.

공수처가 2차 체포영장을 발부받은 지난 1월 7일 김 전 차장은 윤 전 대통령에게 시그널로 "대통령님께서 전략을 세우시는 데 지장 없도록 경호처가 철통같이 막아 내겠다. 대통령님께 유리하게 바뀌어 가고 있는 것 같다"고 얘기했다. 이에 윤 전 대통령은 "경호처는 정치 진영 상관없이 대통령 안전만 생각한다"고 했다.

윤 전 대통령은 2차 체포영장 집행이 임박했을 땐 경호처 지휘부에 "특공대와 기동대가 들어온다고 하는데 걔들 총 쏠 실력도 없다. 총은 경호관들이 훨씬 잘 쏜다"라며 "경찰은 너희들이 총기를 갖고 있는 것을 보여주기만 해도 두려워 할 것이다. 총을 갖고 있다는 것을 좀 보여줘라"고 말했다.

지시를 받은 경호처는 전술복과 방탄 헬멧을 착용한 채 총기를 들고 관저 내부를 순찰했다. 또 기관단총 2정과 실탄 80여발을 배치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이 경호처에 비화폰 기록을 삭제하도록 지시한 정황도 구속영장 청구서에 적시했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7일 김 전 차장에게 "쉽게 볼 수 없어야 비화폰이다. 빨리 조치해야 되지 않겠냐"라며 여러 차례에 걸쳐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에게 지급한 비화폰 기록 삭제를 지시한 것으로 조사됐다.

김 전 차장은 비화폰을 관리하는 경호처 직원에게 "대통령님 말씀"이라며 원격 로그아웃을 통한 비화폰 초기화를 지시했으나, 해당 직원이 조치를 하지 않자 "그냥 시키는 대로 하란 말이야. 왜 이렇게 말을 안 들어"라고 재촉한 것으로 나타났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2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