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2100년, 15~64세 인구 100명이 65세 이상 노인 140명 부양해야
한미연 "젊은 세대에게 결혼·출산은 경제적 조건 문제

한미연 제공한미연 제공
대한민국 인구가 지금 추세대로라면 100년 뒤 현재의 15% 수준인 753만 명으로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100년에는 생산연령인구 100명이 노인 140명을 부양하는 초고령 사회가 된다는 경고도 나왔다.

인구 전문 민간 싱크탱크인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한미연)은 2일 발간한 '2025 인구보고서: 대한민국 인구 대전환이 온다'에서 이 같은 장기 인구 추계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125년 최악의 시나리오에서는 현재 인구(5168만 명)의 85%가 사라지고, 서울시 인구(약 933만 명)보다 적은 규모인 753만 명만 남는다. 중위 1115만 명, 가장 낙관적인 고위 시나리오에서도 현재의 3분의 1 이하인 1573만 명에 그친다.

인구구조도 급격히 변화해 2075년 '가오리형' 피라미드는 2125년 전 연령대에서 폭이 좁은 '코브라형'으로 축소된다. 이는 아이를 적게 낳으면 다음 세대에 출산 가능 인구 자체가 줄어드는 '인구 모멘텀' 효과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보고서는 또 2100년이면 생산연령(15~64세)인구 100명이 65세 이상 노인 140명을 부양해야 하는 초고령 사회가 도래한다고 경고했다. 현재는 100명이 노인 30명 정도를 부양하고 있지만, 점점 노인 인구가 늘며 부양 인구보다 부양받는 인구가 많은 '역피라미드' 구조가 현실화되는 것이다.

2040세대의 인식 조사도 눈에 띈다. 직장인 커뮤니티 '블라인드'의 게시글 약 6만 건을 분석한 결과, 결혼 관련 글에서는 '사랑'보다 '돈'과 '집'이 더 많이 언급됐고, 출산 관련 글에서는 경제적 부담이 주된 키워드였다.

감정 분석에선 결혼과 출산에 대해 '슬픔'과 '공포'가 주요 감정으로 나타났다. 한미연은 "젊은 세대에게 결혼·출산은 자유로운 선택이 아닌 경제적 조건의 문제"라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이외에도 젊은 노인의 개념 재정립, 비혼 출산 수용성 확대, 기업의 인구경영 활성화 등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했다. 아울러 △출산·양육 지원 확대 △일·가정 양립 문화 정착 △정년 연장과 계속고용 확대 △이민정책 개편 △생산성 중심의 경제구조 전환 등을 핵심 정책 방향으로 제안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