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백악관, 상호관세 유예 종료 앞두고 '단계적 합의' 모색"

"백악관, 상호관세 유예 종료 앞두고 '단계적 합의' 모색"

연합뉴스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계 유예 시한(8일)이 코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백악관이 무역협상 상대국들과 일괄 타결보다는 단계적 합의를 모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 번에 포괄적인 무역협상을 타결하는 대신 견해차가 크지 않은 사항부터 합의하겠다는 것이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1일(현지시간) 무역협상 상황에 밝은 다수의 소식통을 인용, "7월 9일까지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경주 중인 미 당국자들은 가장 적극적인 국가들과 단계적 합의를 맺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라고 보도했다.

당초 트럼프 행정부는 90일간의 유예기간 동안 최소 90건의 무역협상을 타결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하지만 시간부족 등 현실적 한계 때문에 '범위가 좁고 단편적'으로라도 일단 합의한 뒤 추가협상을 하는 쪽으로 후퇴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FT는 짚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4월 5일부터 모든 무역상대국에 10%의 기본관세를 부과했고, 한국을 포함한 57개 경제주체(56개국+유럽연합)에 차등화된 상호관세를 지난 4월 9일 발효했다가 13시간 만에 90일간 유예(중국 제외)했다.


하지만 이후 현재까지 미국과 포괄적 무역협상을 타결한 국가는 영국이 유일하다. 중국과는 총합 145%의 관세폭탄을 투하하며 무역전쟁까지 벌였지만 다시 관세율을 30%로 낮춘 채 휴전에 들어갔다.

FT가 취재한 소식통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상호관세 유예기간 만료 전 무역 분쟁이 있는 몇몇 국가들과 '원칙적 합의'를 하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미국과의 부분적 합의가 성사되더라도 10%의 기본관세는 주요 쟁점들에 대한 추가 협상이 마무리되기까지 유지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이처럼 목표를 낮춰잡은 상황에서도 미 정부는 협상 타결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다른 한편에서는 핵심 부문에 대한 추가 관세도 여전히 검토 중인 상황이라고 소식통들은 말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