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李, 김상환·오영준 지명…헌재 '진보 우세'로 갈 듯

李, 김상환·오영준 지명…헌재 '진보 우세'로 갈 듯

김상환 전 대법관·오영준 서울고법 부장판사. 연합뉴스김상환 전 대법관·오영준 서울고법 부장판사.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지명한 헌법재판소장과 헌법재판관 후보자가 임명되면 헌재는 '9인 완전체' 복귀를 하게 된다. 신임 재판관 후보자들은 모두 진보, 중도 성향으로 분류돼 헌재 이념 지형은 '진보 우세'로 기울 것으로 예상된다.

이 대통령은 전날(26일) 헌법재판관 겸 헌재소장 후보자로 김상환 전 대법관(사법연수원 20기)을,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오영준 서울고법 부장판사(연수원 23기)를 지명했다.

두 후보자가 임명되면 헌재는 두 달 만에 9인 완전체가 된다. 헌재는 지난해 10월 17일 이종석 헌재소장이 이영진·김기영 재판관과 함께 퇴임하며 두 달 넘게 6인 체제를 이어왔다. 그러다 올해 1월 1일 조한창·정계선 재판관 취임으로 8인 체제가 됐다.

마은혁 재판관의 4월 9일 취임으로 9인 완전체가 됐지만 같은 달 18일 문형배 전 헌재소장 권한대행과 이미선 재판관이 퇴임하면서 다시 7인 체제가 됐다.

현 재판관 가운데 가장 먼저 임기가 끝나는 김형두 재판관(현 헌재소장 권한대행)의 임기는 2029년 3월까지다. 두 후보자가 임명된다면 헌재는 앞으로 약 4년간 동일한 재판관 구성이 유지된다.

헌재 '이념 지형'의 변화도 예상된다. 김 헌재소장 후보자는 진보, 오 재판관 후보자는 중도 성향으로 분류된다.

김 후보자는 문재인 정부에서 김명수 대법원장 시기인 2018년 12월 대법관으로 임명됐으며, 진보적 판결을 많이 내렸다는 평가 속에 진보 성향으로 분류된다. 소신과 주관에 따라 결단력 있는 판결을 다수 내렸다는 평가도 나온다.

오 후보자는 법원 '엘리트 판사' 모임으로 알려진 민사판례연구회 회원으로 활동했고, 진보 성향 판사 모임으로 통했던 옛 우리법연구회에서도 활동했다.

기본적으로 특정한 성향에 치우침 없이 법리에 따라 판단하는 스타일로 알려져 있다. 사법부 내에서 대표적인 실력파 법관이자 민사 외에도 지식재산권·상사·형사 등 여러 분야에서 많은 논문을 쓴 '학구파'로도 통한다.

현재 구도는 마은혁·정계선 재판관이 진보, 정형식·조한창 재판관이 보수 성향으로 분류된다. 김형두 헌재소장 권한대행은 중도, 정정미 재판관과 김복형 재판관은 각각 중도진보와 중도보수 성향으로 평가된다.

이를 감안하면 두 후보자가 임명될 경우 진보 4, 보수 3, 중도 2의 구도가 된다.

김 지명자는 이날 헌재를 통해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하고 헌법적 가치를 지켜온 헌법재판소의 길에 동참할 기회가 주어져 부족한 저에겐 큰 영예"라며 "무거운 책임감으로 청문 과정에 성실히 임하겠다"고 밝혔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7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