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개장 코앞인데…해운대해수욕장 해파리 차단망 설치 또 '삐걱'

개장 코앞인데…해운대해수욕장 해파리 차단망 설치 또 '삐걱'

설치 업체, 어촌계와 갈등으로 사업 포기…매년 반복
개장 후에도 한동안 차단망 없이 운영…안전 우려 커져
해운대구 "업체 새로 선정해 7월 초까지 설치 마무리"

해운대해수욕장을 찾은 시민과 관광객들이 물놀이를 즐기고 있다. 김혜민 기자 해운대해수욕장을 찾은 시민과 관광객들이 물놀이를 즐기고 있다. 김혜민 기자 
부산 해운대해수욕장 개장이 코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피서객 안전을 위한 해파리 차단망 설치가 또다시 차질을 빚고 있다. 업체와 어촌계 간 갈등으로 수년째 비슷한 상황이 되풀이되고 있어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1일 부산 해운대구와 지역 어촌계 등에 따르면, 해운대구는 최근 '해운대해수욕장 해파리 차단망 설치 사업' 입찰 재공고를 내고 업체 선정 절차를 처음부터 다시 진행하고 있다.
 
해파리 차단망 설치는 해수욕장 입욕객이 해파리에 쏘이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개장 기간 동백섬에서 미포까지 1.2km 해상에 그물망을 설치하는 사업이다. 해운대구는 이달 말까지 예산 1억 9천만원을 들여 차단망 설치를 마무리할 계획이었다. 지난달 입찰 공고를 내고 한 업체를 선정했는데, 해당 업체가 지역 어촌계와의 갈등을 이유로 이달 초 사업을 포기했다.

이 때문에 해운대해수욕장은 개장 이후에도 한동안 해파리 차단망 없이 운영될 처지에 놓였다. 특히 올해부터 해운대해수욕장은 개장일을 오는 21일로 앞당겨 조기 개장하기 때문에, 피서객이 해파리 쏘임 사고 위험에 노출될 위험은 더욱 커졌다. 부산소방재난본부 집계 결과 해운대에서 발생한 해파리 쏘임 사고는 2023년 68건에서 지난해 112건으로 폭증하는 추세다.

부산 해운대구청 전경. 부산 해운대구청 제공 부산 해운대구청 전경. 부산 해운대구청 제공 
해파리 차단망 설치 사업을 둘러싼 업체와 지역 어촌계 간 갈등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해운대구로부터 사업을 따낸 업체가 어촌계와 이면 계약을 맺고 일감을 떼주는 관행 탓에 해마다 새로 선정된 업체와 어촌계 간에 공사 대금을 둘러싼 이견으로 충돌을 빚고 있다. [23.12.7 CBS노컷뉴스='하청에 재하청' 기형적 구조의 해운대 해파리 그물망 사업]

해운대구 역시 이런 문제가 매년 반복되고 있는 점을 알고 있지만, 수년째 뾰족한 해결책을 내놓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지역에서는 사업을 관리·감독해야 할 구청이 비정상적인 사업 구조를 방치하는 동안, 혈세 낭비에 더해 해수욕장 안전 관리에도 구멍이 뚫릴 형국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부산참여연대 양미숙 사무처장은 "해파리 쏘임은 관광객 안전과 직결되는 문제다. 이런 갈등이 알려지면 해수욕장 이미지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며 "공공기관이 진행하는 사업이라면 원칙대로 투명하게 진행돼야 한다. 매년 반복되는 갈등에도 마땅한 개선책 없이 관행으로 방치해선 안 된다"라고 꼬집었다.
 
이어 "원칙대로 업체를 통해서만 사업을 진행하거나, 어촌계 협조를 배제할 수 없는 사업이라면 이면 계약이 아닌 공식적인 절차를 통해 적정 대가를 해운대구청이 산정할 수도 있다. 어촌계가 직접 사업 자격을 갖출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는 방법도 고려하는 등 해운대구가 적극적으로 대안을 찾아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해운대구는 이른 시일 내에 업체 재선정 절차를 마무리해 다음 달 초까지 해파리 차단망을 설치하겠다는 입장이다. 해운대구 관계자는 "해파리는 7월 중순부터 8월 초에 많이 발생하는 만큼 최대한 빨리 업체를 선정해 다음 달 1일까지 차단망을 설치하는 걸 목표로 하고 있다"며 "다만 자제 확보에도 시간이 걸리는 만큼 좀 더 미뤄질 수도 있어 다음 달 1일부터는 해파리 퇴치 민간 용선도 투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